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정책
  • 제도・법률

성분명처방 시범사업 하반기 본격 시행

고신정
발행날짜: 2007-06-13 09:40:01

복지부, 국립의료원서 총 20개 성분·34품목 대상으로

[메디칼타임즈=] 복지부가 올해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성분명 처방' 시범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열린우리당 장복심(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은 13일 대정부질문에 앞서 "성분명 처방 제도 도입과 관련, 복지부가 올해 국립의료원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혀왔다"고 말했다.

장 의원에 따르면 시범사업 대상기관은 국립의료원 한 곳으로 정해졌으며, 대상 품목은 일반의약품 11개, 전문의약품 9개 등 총 20개 성분, 34개 품목이다.

이에 대해 장 의원은 "늦었지만 정부가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키로 한데 대해 환영한다"면서 "다만 대상기관 및 품목을 상당부분 한정한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확정된 대상품목, 기관범위가 국민의 기대수준과 제도의 실효성 분석을 위한 충분한 조건에 못미친다는 것.

장 의원은 "확정된 대상품목은 국립의료원 전체품목(1596품목) 가운데 2.1%에 불과한 수준"이라며 "모든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시범사업 대상 의약품이 많은 것도 아니어서 정부의 제도도입 의지에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시범사업 대상 기관 확대 및 성분명 처방시 인센티브 제공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주장.

그는 "모든 공공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펼치는 것이 어렵다면 공단 일산병원을 비롯해 국립대병원, 지방공사의료원, 보건소 중 종별로 3~4곳씩 선정해 시범사업 대상기관을 확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공공의료기관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 성분명 처방품목 지정 및 성분명 처방시 인센티브 제공 등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장 의원은 13일 오전 열리는 대정부질문에서 이 같은 제도개선 방안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물을 예정이다.
댓글 29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borina 2007.06.20 10:04:06

    성분명 처방 좋다고 생각한다.
    의사들이 성분명 처방을 반대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약사들이야 제약회사 결정의 이니시어티브를 가지면 제약회사에서 할증등을 주니 이익이 되어
    사생결단 하겟지만 어차피 의사들은 그런 것에
    별로 관심이 없으니 성분명으로 하면 환자들이
    약국을 전전하는 것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환자들이 좋아하는 제약회사가 있으면
    환자들이 그 제약회사를 선택할 수도 있어 더
    좋을 것 같은데 왜들 그런 사소한 일에 매달리는지 모르겠다.

  • 꼴레오네 2007.06.16 18:04:14

    회장선출,지도부구성,무기한 총파업(불응시는 ....)
    2000년 의약분업저지투쟁이 실패로 끝난 것은 총파업에 동참하지 않았던 우아한히포크라테스들때문이었음을 잊어선 아된다.
    회장에게 막강한 권한을 주어 무기한총파업에 동참않는 의사는 제재를 해야한다.
    물론 회장은 하시라도 감옥살 각오가 되어있는 분이라야한다.
    의약분업에서 무조건항복을하고 만 이후는 의사의 권위는 말이아니다.
    배수진을 치지않고 싸우면 100% KO패로끝난다.
    의약분업을 우선 선택분업으로 개정할것을요구조건으로 해서 무기한총파업을지시하면 전국의 모든회원들은 일사불란하게 (응급실과 중환자실만제외하고)파업에 동참해야 한다.
    이때 우아하게 지시에따르지않으면 3번 연속 지시를 하고, 그래도 불응하면 의사면허를 영구박탈할수있는 권한을 의협에 부여해야한다.

  • 태왕연개소문 2007.06.15 20:26:37

    약품제조만 배우는 약대교과과정
    370.202* 약학개론 2 2 2 370.212 약용식물학 및 실습 2 2(2) 371.208* 물리약학 1 3 3 371.214 약학사 2 2 371.216 약학컴퓨터개론 2 2 375.201* 약화학 1 2 3 375.203* 약화학실험 1 (4) 375.205* 약품분석학 1 2 3 375.207* 약품분석학실험 1 (4) 375.213 본초학 및 실습 2 1(2) 375.218 기능성식품학 2 2 801.002* 해부학 2 3 371.209* 물리약학 2 2 3 371.210* 물리약학실험 1 (4) 371.212A 나노약물전달체개론 2 2 371.215 생명약학 2 2 375.202* 약화학 2 3 3 375.206* 약품분석학 2 3 3 375.214 천연물화학 및 실습 2 1(2) 375.217 약용식물배양법 2 2 375.220 약품방사성화학 2 2 801.001* 생리학 3 3 3 370.301* 생화학 1 2 3 370.303* 생화학실험 1 (4) 370.304 종양학 2 2 371.310 기기분석 3 3 371.322 유기의약품합성화학1 2 2 375.301* 생약학 1 2 3 375.309* 약학미생물학 1 3 3 375.318* 의약품합성화학 1 3 3 375.321* 생약학실험 1 (4) 375.322A* 위생약학 1 3 3 370.302* 생화학 2 3 3 371.217 해양천연물약품학 및 실습 2 1(2) 371.313 환경위생학 2 2 371.323 유기약품합성화학 2 2 2 375.221 약학세포유전학 3 3 375.302* 생약학 2 3 3 375.310* 약학미생물학 2 2 3 375.311* 약학미생물학실험 1 (4) 375.313 약품시험법 2 2 375.316 식품위생학 2 2 375.317 법약학 2 2 375.319* 의약품합성화학 2 2 3 375.320* 의약품합성화학실험 1 (4) 375.323A* 위생약학 2 2 3 375.324A* 위생약학실험 1 (4) 4 371.408 제약공장관리 2 2 371.412 제제시험법 2 2 371.413 향장품화학 2 2 375.401* 약물학 1 2 3 375.405* 약제학 1 2 3 375.407* 약제학실험 1 (4) 375.409* 병원약국학 1 2 375.413 내분비화학 2 2 375.417 약국관리학 2 2 375.418 항생물질학 2 2 375.420 생물학적시험법 2 2 375.424* 약물학실험 1 (4) 375.425* 임상약학및실습1 3 2(3) 375.427 의약분자생물학 2 2 801.003* 병리학 3 3 371.409 생물학적제제 2 2 371.410 의약품정보과학 2 2 371.414 농약학 2 2 371.415 식품공학개론 2 2 375.402* 약물학 2 3 3 375.406* 약제학 2 3 3 375.410* 병원약국학실습 1 (8) 375.411* 약사위생법규 1 2 375.412 약전개론 2 2 375.414 신약학 2 2 375.419 조제학 2 2 375.422 독성학 2 2 375.426* 임상약학및실습2 3 2(3)

  • 로비약사 2007.06.15 17:51:45

    장복심 돈받고 일한다
    약사일에 저렇게 광분하는데
    얼마나 받아 처먹을까 저년

  • 울산바위?? 2007.06.15 10:44:02

    울산바위님 뭐하시는분이신가??
    이미 질환에대한 부작용은 의사가 다 책임지고있고 투약에 대한 부작용 역시 의사가 다 책임지고 있거늘...

    성분명처방을 한다해도 약사가 책임지겠다는 말은 한마디도 없고...

    의사들이 돈때문에 못내준다고 치자...

    그럼 가져가려는 약사들은 돈때문에 가져가는게 아닌가??

    잘알지도못하면서 그딴식으로 바라보는 당신이 더 우스꽝스러울뿐이고 당신이 약사라면 더 돈만 밝히는 버러지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증상과 질환에 대한 투약은 의사의 고유한 권한이며 각 약품마다 생동성검사를 했어도 엄연히 약효가 다른것이 경험상 다 드러나고있는데 성분명으로 처방을 한다면 어찌 약사를 믿고 처방을 한단말인가??

    진료는 의사가 하는것이다 환자에게 맞는 더 좋은약을 사용해서 치료하는것도 의사의 권리이며 의무이다.

    얄팍한 생각으로 현실을 왜곡하고 자신들이 대단한 사람인양 진료, 투약권까지 침해하려는 약사들이 한심스러울뿐이다.

  • 약사장복심 2007.06.13 23:01:48

    약사회에서 표창장 줘야 겠다.
    약사회 일하러 온건지 국회의원하러 온건지 분간이 안 가네.

  • 정확의 2007.06.13 21:43:55

    이건 의사국시 하루전날, 계획표짜는거랑 같음.
    8월쯤부터 경선레이스~ 바로 대선시즌~

    6월 중순인데도 계획중이라는건....
    의대생으로 치자면, 국시 하루전날에, 공부시간표 짜는거랑 같음.

    정부가 재집권해야 의미가 있지. 그런데 재집권 확률이....???

  • 정확의 2007.06.13 21:35:30

    의사들 걱정마라, 성분명 처방 안한다는 거나 다름없다
    경선이 코앞이고, 대선이 바로 뒤따른다. 무슨 수로 지금까지도 계획중인걸 다 마무리하고 시행하냐.....너네들이 정치인들이라고 생각해봐, 경선,대선 신경쓰지, 다른걸 신경쓰겠냐?

  • 정확의 2007.06.13 21:33:51

    아래 ㅋㅋㅋ야, 저건 성분명 안한단 뜻이다
    이제 대선시즌 코앞이다....아직까지 계획어쩌고 한다면, 안한다는 소리랑 같은거다. 내일 모레 이민가서 이민준비 바쁜친구가, 한번만나면 한턱 쏜다는 말이랑 똑같다

  • 역시 2007.06.13 19:39:02

    미달이보다는 ...
    미달이보다는 쓰레기가 낫겠어,

    쓰레기보다도 못한 것들...

    뭘 알아야지, 한심한 미달이.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