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빠르면 내년부터 이공계 장학금을 받은 뒤 의사나 약사 등 순수 과학기술과 무관한 직업에 종사할 경우 장학금은 물론 이자까지 갚아야 한다.
이와 함께 이공계 학부 장학생 수도 현재(매년 5000여명 신규 선발)의 절반 이하인 2000명대로 줄여 장기 학자금 대출이나 이공계 대학원생 장학금으로 전환하는 방법도 추진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2일 이공계 장학금 제도를 이르면 내년부터 현재의 무상지급 방식에서 무이자 대출 방식으로 바꾸고 이 같은 조치를 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장학금 혜택을 받은 학생이 의대 등에 편입하는 등 이공계 전공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 이공계 장학금의 취지를 무색케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03∼2004년부터 이공계 국가장학금 혜택을 받은 학생 9389명 중 출석부족에 따른 성적미달,자퇴,휴학 등으로 장학금 지급이 중단 또는 유보된 학생은 1112명(11.8%)에 달한다.
이들은 대부분 의대 등으로 전과하거나 편입,재입학하는 등 이공계 학업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변경된 제도의 내용은 매년 이공대 신입생 5000여명을 뽑아 대학 4년간 학비 전액을 무상으로 대주던 것을 앞으로는 대출제로 바꾼다는 것.
이렇게 되면 장학금 혜택을 받은 학생이 졸업 후 과학자나 엔지니어 등 순수 이공계분야에서 일할 경우 대출금(장학금)을 국가가 대신 갚아주지만 의사, 약사 등 이공계와 관련 없는 직업을 갖게 되면 대출금에 이자까지 포함해 환수할 방침이다.
이공계 장학금은 2003년 의대나 약대쪽으로만 몰리는 우수 학생을 이공계로 유도 하자는 '이공계 살리기' 차원에서 도입했다.
2003년 7153명(대학원생 포함)에게 235억원,2004년 1만2282명에게 530억원을 지급했고 올해는 795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그동안 장학금이 지나치게 방만하게 운용돼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었다.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국내 의사도 3년마다 시험치르게 해야
한번 면허는 영원한 면허가 되어서는 안된다.
대한민국 의사면허자들도 환자진료를 계속하려면 3년에 한번씩 자격유지를 위한 시험을 치게 해야한다. 외국에서 공부한 사람도 실력이 있으면 당연히 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데 그것도 2번에 걸쳐 시험을 보게한다면 한국면허시험은 형식적이라는 이야기.
후진국 의대출신이 한국의사 시험에 합격 할수 있을까?! 합격자는 한국의사들 보다 우
세계 각국의사 시험자격은 어너나라에도 다 열려 있다~ 각국의 의대를 졸업한 자에게~어학 과 의사자격시험의 합격이 주축이다~
어너 나라에도 예비시험이란 제도는 없는 것이다`~ 한국은 웃기는 나라 이군~ㅎㅎㅎ
후진국에 유학가서 쉽게 의사면허따서 국내들어와
국내 시험치면 의사할수 있게 한다는거 아닌감?>
고위층 자녀들이 많은걸로 아는데...
한국에서 의대들어가기 힘드니 이런 편법을 사용하는 것이지. 뭔 외국의사들이 우리나라에 들어온다고라고라? 필리핀 의사가 울나라에 들어와서 개원하면 유지될까???
스승에게 제자가 시험 감독하는 꼴....
미국에 가서 연수하고 견학하고 와서
한국에서 떵떵거리고 있는 분들이,
자기 스승뻘 되는 해외 유수 의치대 출신들이
한국에 발 못 뻗치게 하려고 별 수를 다 쓰는 군. 필리핀 출신 몇명 짜를려고 한다지만
그건 핑계일뿐. 세계화의 대세를 거스르는 속좁은 의료계의 앞날이 암담할 지어다...
정말 이상하군
물론 해외 유학자들의 기본 학력이나 술기를 검증하여야 함은 옳다. 하지만, 태도, 문진법 등 이렇게 중요한 것을 국내 대학 졸업자에게 실시하는 국시엔 포함시키지 않는 이유는 뭔가?
빨리 인턴 만들어서 싸게 부리는데 지장 없게?
제발 그렇게 중요한지 알면 니 새끼들부터 잘 가르칠 생각해라. 그들의 일생 동안 써먹을 일이니. 부려먹을 생각만 하지 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