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대한의사협회(회장 김재정)가 의료기관의 수입균형 제고를 위해 하루에 환자 40명 미만을 진료하는 경우 진찰료를 체증해 지급하는 ‘진찰료 체증제’의 실시를 복지부에 정식으로 요청했다.
17일 김재정 의협회장은 장관과의 면담에서 1일 환자 75인 이상에 적용되는 차등수가제가 헌법의 평등원칙을 위배하고 있다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진찰료 체증제’를 제시했다.
김 회장은 “현재 75인을 기준으로 하는 차등수가제로 인해 2002년도 진료비 체감액이 973억원에 이르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같은 “불평등을 해소하고 의료기관의 수입균형을 제고하기 위해 대만처럼 기본환자수가 40인 미만의 경우 진찰료 체증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현재 대만의 경우 1일 환자수가 50인 이하일 경우 우리 돈으로 약 7,500원을 수가로 책정하며, 51~70인은 6,300원, 71인 이상은 3,750원의 수가를 각각 차등 지급하고 있다.
또한 김재정 회장은 현재의 진찰료를 초진료와 재진료의 중간값인 154.09원으로 통합할 것을 요구했다.
김 회장은 “치료의 종결여부에 대한 분명하고 획일적인 기준이 있을 수 없으며 이는 전적으로 의사의 판단에 달린 문제이므로 환자의 상병별로 30일을 기준으로 초․재진 여부가 단순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김 회장은 ▲하나의 상병에 대한 치료 중 전혀 다른 상병이 발생해 같은 의사가 진찰을 한 경우 초진료를 산정할 것 ▲심야진료의 가산료를 인정할 것 ▲정기적 물리치료시 의사의 진찰료 100% 인정 ▲의원급과 병원급의 외래진찰료를 차등 지급할 것 등을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여유있게 살려면
어차피 떼돈 못 벌거면 이렇게 합시다.
75명 채우고 4시쯤 문닫고 퇴근할 수 있게...
일본은 매출액이 일정이상 되면 세금이 순이익보다 더 많아서 한달에 일주일 정도는 문닫고 의료봉사를 하든지, 취미할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던데...
여유있게 삽시다.
다 같이 살려면
이 방법으로 해야 합니다.
물론 많이 보는 의원은 손해본다는 느낌이
있지만, 지금도 75명이상은 차등인데,
그때는 별 얘기도 없었는데
혼자만 살겠다고하면 다 같이 곤란
겪을 수도 있습니다.
타이완 처럼 해
대만이 우리와 국민소득이 가장 비슷하쟎아
(우리 보다야 높지만 일본처럼 차이 나진 않지)
현재 대만의 경우 1일 환자수가 50인 이하일 경우 우리 돈으로 약 7,500원을 수가로 책정하며, 51~70인은 6,300원, 71인 이상은 3,750원의 수가를 각각 차등 지급하고 있다.
좋은거 같은데.
차등수가는 8시간에 75명이면 12시간이면 105명 아니냐
차등수가는 의사수에 따라서 하는 것은 인정하지만 근본 취지가 진료시간 단축에 의한 부실진료라면 당연히 일일진료 기준시간을 정해놓고 해야지 당연하지. 8시간 일하는 의원이나
15시간 일하는 의원이나 차등수가 기준이 75명이면 말이 되냐. 바로 소송및 헌법소원을 해도 시원 챤은데, 바보 같은 의사놈들, 의협 쯧쯧.
이것도 해결해주세요.
물치사없이 의사가 직접물치하면 보험인정해주세요
75명 이상은 더 낮추고, 40이하는 올려주세요
잘해봅시다
잘해야지 잘못하면...
39명보는 의원이 41명보는 의원보다 수입이
더좋겠소...
의협에서 오랫만에 올바른 주장을 했는데....
절대로 성사가 안될걸.
시민단체가 똑같은 주장을 했다면 100% 들어주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