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의료급여 환자의 명의 도용에 대해 의료계가 일선 의료기관의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한 시도의사회가 최근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의 의료급여증과 신분증명서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 일부 의료기관에서 부당이득금 환수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손숙미 의원(한나라당)은 지난 4일 국감 보도자료를 통해 2005년부터 2009년 8월까지 전국적으로 178명이 의료급여증을 도용해, 6억 3000여만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문제는 이같은 의료급여증 도용이 의료기관에게 부당이득금 환수로 피해가 전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모 내과의원의 경우 타인의 이름과 주민번호로 접수하여 약 6년간 진료받은 사례로 적발돼 570만원(진료비 130만원, 약제비 440만원)의 부당이득금 환수액을 부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의료기관은 공단 전산망에 조회한 후 진료를 했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공단 전산에는 급여대상 여부만 확인되고 본인 여부는 확인이 되지 않는 점에서 환수될 처지에 놓여 있다는 것.
의사회측은 “의료보험 또는 의료급여 환자 진료시 필히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확인하여 부당이득금 환수를 당하는 일이 없도록 시군구 회원들에게 안내해 달라”고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정부의 부당이득금 환수근거는 의료급여법 제23조 ‘부당이득의 징수’와 복지부 유권해석을 비롯하여 서울고등법원(05년)과 대법원(03년) 등 법원 판례이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신분증없을때는
신분증없이 오면 진료거부하면되는건가요?..
신분증없이 보험증만봐서해도 처벌
신분증없다고 안가져오면 안된다고해도 진료거부로 처벌
정답을가르쳐주세요..
신분확인의 1차책임은 병의원에게 있습니다
매번 방문시마다 신분증 확인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경찰에 신고하고 그 환자오면 연락하면 체포합니다
님이 피해입은 것 + 정신적 위자료+ 명예회손해서 그 병의원은 도용환자에게
10억원정도 손해배상소송하면됩니다.....
공단이 그런거 조사하는기관인데..몇년동안 뭣했단말인가??
병원이 조사하는곳이냐?진료하는곳이냐? 공단의잘못을 죄물어야한다.
신분증도 빌려오면?
의원에 앞으로 사설탐정을 하나씩 둬야겠구만.
사설탐정 수가는 있나? 건당 100원? ㅋㅋㅋ
코메디 나라.
형사고소를 하면된다.그것이 법이다.
사기죄,공무집행방해죄,공문서문서위조죄. 등등 많잖아, 의료를 공공제라고 우기는 이나라에선 가능한소송이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