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응급의료센터의 법정기준을 충족하며, 24시간 전문의 또는 3년차 이상 전공의 근무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관이 10곳 중 4곳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보건복지부의 응급의료계획안에 따르면 응급의학전문의의 배치가 권역응급의료센터의 31%, 지역응급의료센터의 68%만이 응급의학전문의의 법정기준을 충족하며 24시간 전문의 또는 3년차 이상 전공의 근무가 이루어지지 않는 기관이 41%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현재의 법적 수준의 충족만으로는 24시간 응급 전문의 근무체제의 완성이 불가능한 것을 시사해준다.
응급의료기관의 24시간 전문의 진료를 위해 개소당 최소 5인 이사의 전문의가 필요하며 환자의 중증도가 놓은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경우 10명이, 지역응급의료센터까지 포함하며 최소720명에서 최대 1,160명의 전문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올 4월까지 배출된 전문의 수는 414명으로 현 추세에 의한 2008년까지의 배출 전문의 수는 729명에 불과하다.
이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야간에 치우친 근무시간 및 타 진료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가 응급의학 지원 기피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해 응급의학 전공의의 충족률은 70%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복지부는 연차별 127명인 응급의학전공의의 정원을 단계별로 167명까지 확대하는 한편, 원활한 모집을 위해 ‘지역병원군총정원제’를 실시해 2011년 까지 1천명 이상의 인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전공의 정원 충족률 90% 확보를 위해 응급의료수가 중 응급의학전문의에 대한 진료보상금을 배정하고 응급의학전공의 수련보조 수당을 연차별로 증액시킬 방침이다.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응급실은 전인권이 마약을 달라고 하는 곳이다
신문에 났다
보건진료원에는 의사가 없다
불법!
응급실 = 환자보호자 깽판 치는곳 = 폭력배 실력 발휘하는곳 = 욕하는장소
이런곳에서 어떻게 일허냐
국가가 직접 지원금을 줘야지...
응급의학과 전문읩니다.
그래도 보람은 있다는 생각에 지금까지 하고 있습니다.
국가 지원금도 조금 있는것으로 압니다만.. 중간에서 병원이 뚝딱_._ 연봉 협상하는는데 국가가 응급전문의에게 주는 지원금 포함해서 연봉협상합니다. 그러니 국가 지원금은 병원에서 뚝딱...보건복지부에서 직접 응급전문의 통장으로 입금시켜주면 좋겠습니다. 물론 안 그런 병원도 있겠지만 대다수 응급센터에서는 뚝딱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호자에게 시달리고 폭력배에게 위협당하고,,병원은 삥땅....최소한 봉직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에게 실질적으로 사기 진작금이 전달된다면 좋겠습니다.
박터지는 세상 바로 응급실이 축소판이지 아 지겹다. 돈있으면 안한다
ㅆㅂ
야간당직의하느니 포장마차하는게 더좋지, 미쳤냐 야간당직하게
폭력배들한테 야간당직시키자
야간응급실은 지옥이다.
야간의 응급실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법이 존재하지 않는 아비규환의 지옥이다.
술먹은 사람들이 기물을 부수고 소란을 피우고
덩치가 큰 사람들이 칼을 들고 의사를 위협하고
가족의 죽음을 임박한 사람들이 의사가 잘못하는 것이 없나 꼬투리잡고 늘어지며 협박을 하고
단순 환자가 죽음을 임박한 환자 보다 먼저 진료를 받으려 고함지르는 이기주의가 통하고
매일 처참히 죽어가는 사람을 봐야하고
밤에는 잠을 자야하는 생체리듬을 무시하여 건강이 무너지고
빈번히 발생하는 의료분쟁과 의사의 책임에 대한 폭넓은 해석으로 인한 재산의 탕진과
이래도 응급의학과를 하는 의사는 그 사명감이 출중한 사람이거나 아니면 바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