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학술대회

대한의학회, '임상진료지침' 심포지엄

전경수
발행날짜: 2003-12-03 15:43:51

10일 서울대병원 이건희홀 2층에서

[메디칼타임즈=] 대한의학회는 오는 10일 오후 1시반부터 서울대 암연구소 암연구동 이건희홀 2층에서 '임상진료 지침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는 2부로 나뉘어 1부에서는 '임상지침 및 개발방법론'에 대해 2부에서는 '임상지침 개발 국내사례 발표 및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댓글 16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미치게따. 2005.12.23 09:37:37

    치과는 더이상 들어설곳이 없습니다.
    과열.포화.생존경쟁.가격할인의주축..,치과의 현실입니다. 보험을 요구하는것은 환자들한테 비싸다는욕좀 안먹을려는거지요. 요즘 환자들 천원만 더 비싸도 딴데갑니다.환장합니다.

  • ㅌㅌ 2005.12.22 21:50:29

    이젠 할인경쟁이라니 나참.......
    언제부터 재래시장 장돌뱅이 처럼 인술을 이렇게 취급하게 되었더냐....정말 요즘엔 환자들이 무섭다. 이건 뭐 무조건 다른 병원은 일이천원 더 싸다고 하면서 물건 값 깍드시 달려붙고 엉긴다. 병고쳐주면 당연한거고 못고치면 역적이되는 이 세상이 진정 엿같다.

  • 2005.12.22 20:36:01

    그 뜻은
    의과에 비해서 치과는 성공한 과라는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 치과는 의과의 인기 마이너과인 피부과, 성형외과 정도라고 알고 있습니다.
    생명력이 떨어진다고 하셨는데 의과도 마찬가지죠.(나이 많으신 분들은 페이닥터 쓰면서 치과의원을 유지한다던데..아닌가요?)
    외과쪽도 수술이 어려워 지겠고 내과쪽은 젊은이들에게 밀리겠죠.
    비보험이 많은게 우선 유리하죠.
    지금은 모두가 경쟁이니 어렵습니다.
    어떤과를 하든지 자기하기 나름인것이죠.

    근데 '미치게따'님, 치과의사 친구가 그러는데 치과는 보험으로 바뀌기 힘들다고 그러던데(치과 재료비가 비싸서) 사실인가요?
    글구 치과 진료에 있어서 비보험이 나은가요 보험이 나은가요?(요즘 치과계가 어떤 항목(예방쪽인가?)에 대해 보험을 요구하는것 같아서 궁금해서요..)

  • 미치게따 2005.12.22 19:52:48

    치과가 성공한과라구요???
    경쟁이 가장 치열한곳이 치과입니다.
    치과의 가격할인도 도를 넘어섰구요. 보험청구금액이 거의 안되므로 전액 비보험에 의존해야하므로 할인의 폭이 커질수록 미칩니다. 미쳐요. 둘러보세요. 하루가 멀다하고 치과가 들어섭니다. 신도시 상가만생기면 가장먼저입점하는곳이 치과입니다. 쬠만있으면 완전히 필리핀치과될것입니다. 치과...완전 사양업종입니다.
    우선 생명력이 떨어집니다. 오십넘으면 손떨려서 치료 못합니다. 환자들 떨어지기시작하지요 그안에 열심히 벌어야합니다. 근데 요즘엔 그게 쉽질않죠. 무한경쟁의시대니까요....

  • 청와대 2005.12.22 19:42:07

    모르는소리. 치과도 조만간 가격이 폭락한다.
    국민들중 치과 바가지씌운다는사실 누가 모르냐? 비싸다는인식이 팽배해있다는건 소비자들의 불만도 쌓일대로 쌓였다는 반증. 이십만원도안하는 임플란트 삼백만원씩 받아처먹는다는사실 국민들 대다수는 알고있다. 조만간 터진다.
    사기꾼집단으로 인식받는 치과의에대한 국민들의 불만에 쓰러진다. 두고봐라.소비자보호원불만접수 부동의 1위는 치과의 비싼 치료비용이다. 정부도 모르는게아니다. 곧 치과에대한 칼질이 시작된다. 기다려봐...

  • 의사 2005.12.22 14:02:39

    보험과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저도 보험과님의 의견에 찬성입니다.
    지금의 의료계는 전문과가 없어지면서 점차 비보험진료(피부,성형,비만)에 집중하고있습니다.
    개원가에서 진료는 거의 2-3개의 과라고 해도 될것같군요.
    그러나 의사수는 엄청많습니다.
    그에따라 의사 페이도 줄겠죠.
    페이가 적어 개원하려고 해도 엄청난 경쟁에 힘겹겠죠.
    치과가 단일과 치고는 수가 많다고 말하는 치과의님이 있지만, 제 생각으로는 의과가 과는 훨씬 많지만 거의 같은 진료를 하고 있으니 수가 훨씬 많다고 볼수 있고, 또한 한의사들의 영역 침탈로 한의사도 이제는 경쟁상대라고 볼수 있습니다. (한의사들이 치과진료는 할수 없겠죠..)
    그러므로 경쟁상대가 같은 치과의사들 밖에 없는 치과가 상황이 그래도 좋겠죠.

  • 웃찾사 2005.12.22 11:04:03

    6번놈봐라 너가튼 놈이 황구라처럼 사고친다.이미치노마
    .

  • 보험과 2005.12.22 10:57:18

    의대 정원과 치과 정원의 차이
    물론 의사 숫자가 치과의사 숫자보다 많아야 한다.

    그런데, 의사가 나눠먹을 수 있는 파이가
    한정되다보니까(이건 터무니없는 수가 때문이다.)
    일반의도,내과도, 소아과도, 산부인과도, 이비인후과도
    서로 침범하지 않고는
    생존이 힘들어졌다.
    게다가 내과, 소아과,이비인후과, 정형외과의 파이를
    도둑질해가는
    한의사 들...

    치과를 제외한 모든 과 의사들과
    플러스 한의사들까지
    이전투구하고 있다.



    지금 보면 의사 숫자는 너무 많다.

  • 보험과 2005.12.22 10:51:20

    치과가 성공한 이유????(의사 선배들의 잘못이다.)
    일단 치과의사는 숫자가 적다.
    의대가 무지무지하게 숫자가 느는 동안에
    상대적으로 치대 숫자는 적게 늘었다.
    싼 의사 인력(후배지만 부하직원)을 쓸려는....
    의사 선배들(병원 경영자들)의 농간도
    무시못한다.


    그리고,
    의료보험으로 돌아서면서
    의사선배들이 터무니없는 수가를 받아들인 반면에
    치과의들은 대부분을 비보험으로 유지하면서
    "치과 가면 돈이 많이 든다"는 인식을
    유지해 왔다.

    의원가면 3000 원 든다는 인식...
    결국 비보험을 해도 그걸 고치기가 힘든 것이다.

  • 생존을위해 2005.12.22 10:44:12

    레지던트 때부터 정신차려야 한다.
    이미 의사들도 생존모드에 들어섰다.

    레지던트 때부터 정신차리고 준비를 해야 한다.

    비인간적인 대우에 너무 피곤해서
    몽롱한 정신자세로 있지 말고
    이런 건 왜 정식으로 안 가르쳐주나요
    특히 생존이 절박한 산부인과... 같은 경우
    개원가에서 하는대로 트레이닝 받아야 한다.

    현실은
    이제 병원도 PC방, 당구장 처럼
    무한 경쟁 체제라는 사실을 알라.
    잘 되면 옆에 곧 들어오고,
    남이 가격을 깎으면 나도 안깎으면 손님이 안오고
    가격경쟁하다보면 못 버티는 병원은 나가 떨어질 수 밖에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