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로타바이러스 백신 도입 후 오히려 로타바이러스 감염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임인석 교수(왼쪽)와 김원용 교수중앙대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임인석 교수와 중앙의대 미생물학교실 김원용 교수가 우라나라에서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 이후 G2P[4] 유전자형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실렸다.
연구진은 2013~2015년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아의 발생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기존 G1P[8] 유전자형 로타바이러스가 주요 유전자형을 차지했지만 연구기간 동안 G2P[4] 유전자형이 주된 유전자형으로 증가했다. 11개의 바이러스 RNA 유전체 중 일부분이 소 또는 염소 등 동물바이러스 유전체와 재조합 돼 있었다.
특히 이 바이러스들은 현재 사용 중인 백신과 항원결정기 상에서 17~24개의 아미노산 부위에 변이가 있었다.
로타바이러스는 5세 이하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급성 위장염 원인 가운데 하나로 구토, 발열, 물설사, 탈수증을 일으킨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최우선으로 퇴치해야 할 전염성 질병'으로 지정했다.
우리나라에는 2007년 MSD의 로타텍과 2008년 GSK의 로타릭스 등 2종의 경구용 생백신이 처음으로 도입됐고, 로타바이러스 발병률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였다.
연구진은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 변화는 인간과 동물 변종 간의 자연적 변이 또는 재조합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며 "로타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하고도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걸린 환아의 원인 기전과 신·변종 로타바이러스 전염 원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규제기요틴을 기요틴해라!2015.04.03 09:37:31
저런거 하나 규제혁파도 못하면서 무슨 "규제기요틴"이냐? 규제기요틴? 웃긴다. 차라리 안하니만 못한 위원회라 생각한다. 아동병원, 산과병원 병상쯤은 특수성, privacy를 존중해서 좀 혁파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 때려처라.때려쳐!
ㅋㅋㅋ2015.04.03 09:34:03
정치력이 있다면.. OECD 국가들은 일인실 대비 다인실 비율이 어떠하며 점차 어떻게 변화해가는 추세이며
적정한 관리를 위해 OECD 평균과 비교했더니 인력은 어느 정도이며, 수가는 어느정도 이다 이걸 신문과 TV 에 계속 알려야 한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저런거 하나 규제혁파도 못하면서 무슨 "규제기요틴"이냐?
규제기요틴? 웃긴다. 차라리 안하니만 못한 위원회라 생각한다. 아동병원, 산과병원 병상쯤은 특수성, privacy를 존중해서 좀 혁파해줘야 하는 거 아닌가? 때려처라.때려쳐!
정치력이 있다면..
OECD 국가들은 일인실 대비 다인실 비율이 어떠하며 점차 어떻게 변화해가는 추세이며
적정한 관리를 위해 OECD 평균과 비교했더니 인력은 어느 정도이며, 수가는 어느정도 이다 이걸 신문과 TV 에 계속 알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