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의원급 의료기관의 서울시 및 6대 광역시 지역의 개원증가율이 감소하고 지방개원이 증가하는 현상이 분업이후 첫 발생했다.
1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기관 현황 자료를 기초로 올 상반기 개원시장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의원급 의료기관의 대도시 집중율이 큰 폭으로 감소, 지방개원시대에 돌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의원 대비 서울시 및 6대 광역시 지역 의원수는 01년 53.7%에서 04년 말 54.4%로 54%대 전후의 흐름을 지속 유지했으나 올해 상반기 52.6%로 04년 말대비1.8%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분업 이후 지방 개원 증가율이 대도시지역에 크게 앞서는 상황이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도심지역의 입지 한계에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상반기 지역별 개원증가율은 대도시 지역의 경우 △서울 2.35% △부산 1.3% △대구 2.42% △인천 2.25% △광주 2.46% △대전 0.76% △울산 4.82% 등으로 전체 증가율은 2.1%에 그쳤다. 의원급 의료기관 증가율 2.3%에 못미치는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지방은 △경기가 2.96% △강원 0.77% △충북 2.74% △충남 3.15% △전북 2.45% △전남 3.03% △경북 3.44% △경남 1.97% △제주 3.28%로 3%대 증가율을 보인 지역이 많았다.
컨설팅 업계 관계자는 “증가율이나 개원 숫자가 가장 많았던 경기지역보다 타지역의 증가율이 더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은 지방 개원이 그만큼 늘었다고 판단된다” 며 “올 상반기는 도심지역의 개원입지의 한계가 드러나는 전환점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방개원율 증가에 가장 큰 영향력을 준 경기도의 개원율이 2%대로 낮아졌음에도 불구 지방 개원증가율이 대도시를 앞지른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 설명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모두 단합해 부당환수 몰아내자.
부당환수 부당삭감은 엉터리의약분업으로 재정이 바닥나자 의사에게 뒤집어 씌우는 비굴한 행위다.
단합하여 의사(의협)들도 파워를 가져야 한다.
문닫지
무슨 생각으로 도둑놈 소리들 들으며 봉사하고 있느뇨.
보험지침대로만 치료하다 환자죽으면 누가 책임질건데.
보험지침대로만치료하면 사람 다 죽는거 보건복지부도 잘안텐데..
자신들의 가족이 환자라도 보험대로만 치료하라고 말할수있을까?
지금의 의료보험법이 잘못된거지 왜 병원만 탓하나? 이상한나라다,,,
성모병원 끝까지 싸워다오
맘대로 잣대
맘대로 저울
맘대로 기준
맘대로 평가
맘대로 실사
그 맘대로 때문에
너그들의 말도 않되는 실적 쌓기에 얼마나 많은 병원과 의사와 환자가 반목의 상태가 되어 있는줄 아냐 ?
성모병원 꼭 본 소송에서도 이겨서 무엇이 잘못 된 것인지를 증명시켜라
추카 추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