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청와대 겨냥한 의협 "왜 핸드폰 진료 집착합니까?

안창욱
발행날짜: 2013-12-18 15:36:13

노환규 비대위 위원장, 최원영 수석 발언 반박 "위험한 불통정책"

[메디칼타임즈=] 대한의사협회는 원격진료와 관련, 국민행복을 위협하는 위험한 정책이라고 규정하고 청와대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노환규 위원장은 18일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청와대 최원영 고용복지수석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다.

최 수석은 "원격진료는 의료의 공공성을 높이는 정책으로, 일부에서 오해하는 의료 민영화와 전혀 무관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노 위원장은 "최 수석의 발표는 사실이 아닐뿐 아니라 의료전문가 대표단체인 의협의 견해를 무시한 발언이며, 궁색한 변명"이라고 꼬집었다.

노 위원장은 "정부는 원격진료가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해 의료의 공공성을 높이는 정책이라고 주장하지만 핸드폰을 이용한 진료 허용은 진단의 정확성을 떨어뜨리고 동네의원의 몰락을 가져와 정부 주장과 반대로 의료 공공성을 떨어뜨리는 것이 자명하다"고 강조했다.

또 의협은 최근 복지부와 새누리당이 당정협의를 통해 원격진료 수정보완책을 마련한 것에 대해서도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선을 그었다.

노 위원장은 "당정협의를 통한 수정보완책은 초보적인 의료지식도 없는 관료에 의해 만들어진 미봉책에 불과해 보완책이 될 수 없다"면서 "최 수석이 대화를 통해 실행계획을 만들어가겠다고 한 말도 동의하기 어렵다"고 일축했다.

초진 원격진료 대상을 축소하고, 원격진료 전문 의료기관 개설을 금지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것이다.

노 위원장은 "핸드폰 진료가 대면진료를 대체할 진료수단으로 인정할 것인지, 아닌지는 관료가 아니라 의사들이 판단할 문제"라면서 "창조경제 성과에 집착해 전문가들의 의학적 판단을 무시하고, 국민 건강을 시험대에 올려놓겠다는 생각은 위험하기 짝이 없다"고 단언했다.
댓글 3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의사만 억압하는 복지부? 2013.12.19 20:59:03

    원격은 되는데 왜 의약분업은 폐기가 안되나?
    원격은 국민들 편리를 감안했다고 하면서 왜 의약분업은 폐기가 안될까? 그리고 약사회에서도 원격조제 택배 그러면 결사반대다. 이는 사안이 원자폭탄 급이다.

    복지부도 할려면 아쌀하게 원격조제 택배까지 하고 보건간호소만 할려면 아쌀하게 포기해라.

  • 손으로 해를 가려? 2013.12.19 20:56:52

    완도에 의료기관 41개소 섬지역이 잘살아서 병의원이 많다.
    병원(1) 완도읍(1) 완도대성병원 강권일 완도읍 청해진동로 63 553-1234
    의원(23) 완도읍(12) 제일의원 최병열 완도읍 청해진남로24번길30 552-2374
    김병곤외과 김병곤 완도읍 중앙길 24 552-2474
    중앙의원 김영동 완도읍 장보고대로282-2 554-4662
    완도기독의원 김철웅 완도읍 개포로114번길38-9 552-5118
    양지의원 강상호 완도읍 개포로11번길37-6 552-2118
    임태진내과 임태진 완도읍 개포로130번길 17 555-2005
    완도이비인후과의원 노영식 완도읍 개포로 151 555-1244
    현대의원 한승용 완도읍 청해진남로 15 555-2266
    완도밝은안과의원 정종석 완도읍 개포로 130번길 15 555-2075
    김병일내과 김병일 완도읍 장보고대로262-1 552-7300
    제중의원 윤용복 완도읍 개포로 154-9 555-3663
    장보고의원 정상연 완도읍 장보고대로 170 552-2275
    금일읍(2) 금일마취통증
    의학과의원 김진호 금일읍 금일로407번길 11-1 553-3577
    금일한국의원 신민철 금일읍 금일로389번길 5 552-7582
    노화읍(2) 하나의원 홍민석 노화읍 이포길 27 554-7992
    신노화의원 김정원 노화읍 노화로870번길 23 553-5700
    신지면(1) 한국의원 박준일 신지면 신지로 561 554-1175
    군외면(1) 장이현의원 장이현 군외면 청해진서로2142-1 552-8575
    고금면(2) 고금의원 김명숙 고금면 고금동로 17-15 552-0304
    다정의원 오장열 고금면 고금동로 30 552-2466

    약산면(1) 약산사랑의원 이승원 약산면 약산로 348 554-0650
    청산면(1) 푸른뫼중앙의원 이부덕 청산면 청산로 1575 555-5971
    소안면(1) 완도소안의원 김제중 소안면 소안로 177 554-8119
    치과 의원(10) 완도읍(7) 김학주.김동주 치과 김학주 완도읍 장보고대로 284-1 554-2281
    흥일치과 박진석 완도읍 청해진남로 15 554-1875
    대성치과 신소영 완도읍 개포로 114번길 38-10 553-8275
    금호치과 강덕삼 완도읍 장보고대로 255 554-0033
    완도이안치과 신정 완도읍 개포로130번길 17 555-2842
    장보고치과 김광중 완도읍 장보고대로 170 555-2870
    완도치과 박명화 완도읍 개포로114번길43-3 555-0028
    노화읍(1) 노화흥일치과 박진홍 노화읍 노화로 842 555-2875
    고금면(2) 박종춘치과 박종춘 고금면 고금동로 42 554-3952
    장치과 장정익 고금면 고금동로 8 552-8275
    한의원(7) 완도읍(3) 서울한의원 이수성 완도읍 장보고대로 282-2 554-2276
    경희한의원 이성무 완도읍 개포로114번길 48 554-4085
    청해진한의원 최운영 완도읍 장보고대로 192 554-8275
    노화읍(2) 노화한의원 구종우 노화읍 이포11번길5-5 552-6333
    홍익대우한의원 주돈진 노화읍 노화로831번길 19 553-4819
    고금면(1) 고금한의원 신민철 고금면 고금동로 15-1 553-4344
    청산면(1) 청산한의원 정용진 청산면 청산로 1592 554-1212

  • 교통부 복지부장관 짤라야? 2013.12.19 20:33:45

    의료사각지대는 없다. 지금이 구루마끌던 1980년도 시대인가?
    복지부에서 의료사각지대운운하는 것이 우습다. 의료사각지대라고 해서 간호사가 내과 전문의 재산인 혈압당뇨약을 처방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이는 의료법 위반이다.

    한국에는 다도해가 많다. 섬 지역에도 병의원이 50개씩된다. 하물며 농촌에는 말할것도 없다.

    90노인네가 시내를 가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즉 시내에는 젊은 시절의 로망이 있다. 그리고 신문명이 있다. 그리고 유혹하는 것이 많고 이익이 된다. 그래서 보건지소나 보건간호소에서 혈압당뇨약을 타고 시내를 간다.

    시내로 가는 버스는 1200원 한다. 서울지하철처럼 한방에 시내에 떨군다. 그리고 그 시의 세금을 중앙시장이 담당한다. 버스가 브로커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농수산물 교환도 하고 머리도 하고 목욕도 한다. 그리고 물리치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안과며 치과며 피부과며 다양한 병의원 써비스를 받으러 시내로 가는 버스에 몸을 맡긴다. 누가 도서벽지를 운운하는가?

    도서벽지라고 해서 국가가 의료법 위반을 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현재 2000개가 넘는 보건간호소를 폐쇄하거나 500개 이하로 줄여야 한다.

    복지부 민원 넣으면 묵묵부담 개선할 생각이 없다. 이는 복지부가 의료법 위반의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섬 지역에도 병의원이 50개가 넘는다. 다도해 남해안 지역이 가두리 약식장이니 해서 부자여서 돈잘쓴다고 의사들이 많이 진출하기때문이다.

    보건간호소가 2000개고 보건간호소는 이장이나 유지를 동원할수가 잇다. 임원으로 임명하는 것이다. 관제 브로커질로 연명한다고볼수가 잇따. 복지부 조직도에서 여자이름은 간호사직원이고 보건소에도 간호사들이 우글거린다. 왜 간호사들이 우글거리겠나? 불법질을 영구히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원격은 보건간호소영구존속을 위한 방어막으로 보아야 한다. 국민들이 병의원이 너무 많다고 생각해서 보건간호소를 폐쇄할려는 시도가 많다. 그래서 극과극은 통한다고 대학병원의 앞잡이로 보건간호소가 원격을 마다할리가 없다는 것이다.

    문제는 원격이 글로벌로 수출할 길이 없다는 것이다. 원격은 원자폭탄과 같은 것이어서 승자독식 서울대병원만세만 초래한다. 보건간호소만 설치할 생각이라면 폐기하는 것이 좋다.

    외국에 원격을 수출이 안된다. 그동네 가서 의료 멸망한다고 생각해보라. 누가 사겠는가?

    유비쿼터스? 인간을 위한 유비쿼터스가 아니라면 포기하는 것이 좋다. 스마트 와치와 비슷하다. 사람이 짜증이 나면 안된다. 인간을 위한 사회이기 때문이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