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오는 7월부터 외래명세서 일자별 청구를 의원급 의료기관으로까지 확대키로 한 가운데, 심평원이 '일자별 차등수가제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16일 심평원에 따르면, 최근 열린 경영혁신과제 발굴경진대회에서 '의원급 외래 진찰료 차등수가 개선방안'을 우수과제로 선정하고, 그 도입여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제안서는 의원급 외래 진찰료에 대한 일자별 차등수가제도 도입을 골자로 하고 있다. 오는 7월 의원급 외래명세서 일자별 청구와 맞춰, 산정방식을 기존의 '월단위'에서 '일단위'로 변경해야 한다는 것.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일자별 청구서를 활용해, 심평원서 수가를 직접산정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제안서는 "기존 산정방식은 요양기관 작성항목인 '차등진료(조제)일수'를 바탕으로 산정해 그에 대한 점검이 가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면서 "일자별 산정방식으로 전환시 심평원에서 직접산정이 가능해짐에 따라 요양기관 청구 4항목(차등지수, 차등진료일수, 차등의사수, 차등수가청구액)을 삭제해도 된다"고 설명했다.
제안서는 제도도입으로 '의원급 이하 외래진료에서 의사 1인이 1일 75명을 초과해 진료하는 경우 그 초과분에 대해서는 차등지급한다'는 차등수가제 본연의 취지를 살림과 동시에, 상당액에 이르는 건강보험료 재정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제안서에 따르면 현재 진찰료 차등수가 적용을 받지 않는 A의원의 지난해 9월 외래진료분을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일 29일 가운데 7일을 제외한 22일이 모두 차등적용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한 보험재정 절감액은 해당의료기관 9월 한달 외래 진찰료의 2% 가량인 23만7540원으로 나타났다.
제안서는 "(제도 도입시) 2006년 전체 10억건 이상의 명세서 중 차등적용 되지 않는 명세서(전체의 약 70%)가 상당수 차등적용 대상이 되어, 진찰료 차등수가 제도 개선에 큰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진찰료 차등수가 소급적용 및 의료급여 확대 적용 등도 검토
이 밖에 제안서에서는 의원급 외래 진찰료 차등수가 개선을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진찰료 차등수가 소급적용 △의료급여 확대 적용 등도 제안하고 있다.
진찰료 차등수가 소급적용 방식은 해당 진료월에 대해 최종 또는 변동 차등지수가 산정될 시 변동된 진찰료 차등수가 내역을 기 심사완료건에 대해서도 사후 정산처리하도록 하는 방법.
또 의료급여 확대적용 방식은 보험자구분에 상관없이 진찰료 차등수가 제도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제안서에 따르면 실제 A의원의 9월 진료분에 대해 차등수가 소급적용 방식과 의료급여 확대적용 방식을 적용한 결과, 각각 전체 진료비의 1.5%와 1.3%에 해당하는 차등체감액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전체 요양기관으로 확대할 경우 각각 연간 100억여원의 건강보험 재정절감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심평원은 의원급 차등수가 개선 등 경영혁신 우수과제들을 대상으로 실현 가능성, 효과 등을 검토한 뒤, 적용여부를 최종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혁신 우수과제들을 대상으로 타당성, 제도실현 가능성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한 뒤 채택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선생님들 여기다가 글써봤자 아무도 보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무것도 변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울분을 토로하면 뭐합니까? ,, 행동으로 옮겨야 합니다. 여기에 글써도 복지부 애들 아무도 보지 않습니다. 차라리 복지부에다 글을 올리세요. 민원을 넣던가요
과별 차등을 하던가
아예 산부인과 같은데는 15명 차등으로 성형외과는 1명 차등으로 안과는 45명 차등으로 이렇게 하던가 뭐 못 잡아 먹을 것이 없어서 가장 저렴한 의료 구조로 되어 있는 명수로 먹고 사는 과들에게 비수를 꼽습니까.
75명 이하는 진료비 인상하라,
진짜 경영혁신은 심평원,공단 직원을 줄이고
임금 삭감하는 것이다,,
비급여과 재산환수조치나 빨리 취해라.
치과. 성형외과. 피부과...비급여진료한번에 수천만원씩 년간 수십조에달하는 비급여진료과에대해 즉각적인 재산환수조치실시하라.!!!
가뜩이나 열받는데 정말 할 맛 안 나네.
난 하루에 75명 못 보지만 공산주의라도 똑바로 하려면 많이 버는 것을 막는 것은 좋은데 그러면 하루에 20명이하로 보는 의사는 거기서 떼서 기본급은 보장해줘야겠네.
이러니 대한민국의사 95%가 이직을 희망하지.
공산주의가 좋은제도 같지만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동기부여가 되지 않으면 인간이든 의학이든 국가든 발전이 없다는 것이 진리이다.
회장님..차등수가 자체를 없애 버리도록 투쟁하죠.
전 잘되는 병원은 아니고.상관없지만 열 받아요.
자기가 한 만큼도 못 버는게 뭡니까.
심평원...이 어처구니 없는 것들
75명 이상의 환자부터는
진료비를 제대로 못받으니
대충 진료하란 말이냐?
도대체 어떤 인간이 이따위 비상식적인 법을
만들어서 적용하는 거야?
정말 헌법소원 감이다.
이 비상식적인 심평원 놈들이 하는 짓은.
이런 것은 자본주의제도에 어긋난다고 헌법소원을
이런 것은 자본주의제도에 어긋난다고 헌법소원을 해애 되는데 의협회장이 전라디언이다
보니까 알고도 모른 채 하는 구나
하기야 전라도에선 99%의 지지율로
노무현대통령당선에 힘을 쓴 지역이니까
아마도 장동익이도 대선에선 노무현후보을
지지했게지만
그럼 7 5명 이하로보면
심평원에서 1.5%수가 인상해 지급해라...
그래야 말이 되지 ....무슨 개떡같은 경영혁신
이냐...
밑에 분은 의사가 아닌듯......
누구를 위한것인지 분명하게 밝혀야 됩니다
약사을 공격 하는것인지
그런것을 노리는 마타도어인지 영 구별이
안갑니다 만약에 약사을 공격하는것이라면
문구나 문양을 잘 좀 다듬어서 다시 올리는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영 좀 엉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