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과대학 교수 대표들이 의대생 복귀방안을 각 대학에 맡겨줄 것을 제안하고 나섰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24일 의학교육 정상화를 위한 입장을 통해 최근 의대생 복귀에 대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정책에 브레이크를 걸었다.
의대교수협은 "40개 의과대학 교육 환경은 천차만별"이라며 "교수 인력과 시설은 물론 학생의 상황도 크게 다르고 교육과정과 학칙도 모두 다르다"고 짚었다.
다시 말해 학생들이 복귀하는 방법도 학교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게 의대교수협의 설명이다.
의대교수협은 "각 의대는 복귀하는 의대생을 충실하게 교육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자율적으로 결정해야한다"며 "교수들도 최선을 다해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처럼 의대교수협이 목소리를 낸 것은 오는 24일까지 의대생 복귀 방안을 최종 결정키로 한 가운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의대협)은 지난 21일에 이어 22일 오전까지 열띤 논의를 진행했지만 복귀방안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본과 3년차 의대생의 졸업 시점을 두고 의견이 갈리면서 어느 한쪽으로 결정하기 어려워진 탓이다.
이재명 정부는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를 통해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
오는 24일까지 결론을 내는 것을 목표로 발빠르게 움직이면서 의학계 내부에선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결론이 이를 수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의대교수협 조윤정 회장은 "본3년 졸업 시점을 두고 전국 의대별 의견이 비등한 상황이다보니 더욱 결정이 어렵다"며 "무리하게 속도를 내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의대 본3년 졸업 시점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지만 결국 각자 환자 입장에서 생각하면 해법은 간단하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그는 "의대 이외에도 모든 대학의 교육과정은 대학에 책임지고 맡겨야 하는 문제라고 본다"며 신중한 논의를 거듭 당부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