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의료계가 성분명 처방 시범사업을 막기 위해 집단 휴진 등 강경투쟁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리베이트 문제가 성분명 처방 반대 투쟁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공정위는 상위 국내외제약서 17곳을 대상으로 불공정 거래행위에 대해 벌인 조사 결과를 오는 9월 중순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일각에서는 각 업체당 과징금이 100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는 만큼, 발표 후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불공정 거래 행위의 상당수가 리베이트와 관련 있는 것이어서 의료계에도 비판의 화살이 쏠리는 것은 당연한 수순.
문제는 이 시기에 성분명 처방 시범사업도 9월 중순인 17일부터 시작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이미 성분명 처방의 반대 이유로 약의 주도권 문제와 리베이트 문제를 쟁점으로 몰고 가고 있는 분위기가 현존하는 상황에서 공정위의 리베이트 조사 결과 발표는 성분명 처방의 당위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여론전에서도 '의사들의 리베이트를 막기 위해 성분명 처방이 필요하다'는 식으로 찬성쪽으로 급격히 쏠릴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의협도 이 부분을 염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협 박경철 대변인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서 '리베이트 자정선언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가 일부 회원들의 반발을 산 바 있다.
박 대변인은 이후 해명에서 "공정위에서 파악한 자료들은 그 정도가 상상의 도를 넘는다"면서 "이것이 성분명 처방 반대의 취지를 희석하거나 압박수단이 될 것을 미리 준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의협과 의료계가 국민여론을 좌지할 수 있는 민감한 문제인 리베이트 파고를 넘어 성분명 처방 반대 논리를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대체를 하든,약을짓든 맘대로하고 책임만 확실히져라..
책임만 진다면야 언넘이 약을짓든,약을처먹든,정치를하던,경제를 논하든 관계없어...결과에대한 책임만 지면되,무한으로 지면된다구. 깨백성들 책임은 안질려구 하면서,입만살아가지군.
약사회는 대체조제 활성화에 올인 하라 ...
약국이 현 분업하에서 살아 날 수 있는 방법은
대체조제 활성화밖에 없다
성분명 처방은 약 선택권이 의사에게 있는한 추진 명분이 없다
있는 법을 잘 이용해서 대체조제를 활성화 시킨다면
약사도 실익이 있다
약사들이 대체조제에 망설임이 없어야 한다
혹시 처방의사에게 밉보이는게 아닌가 지례 겁먹고 대체를 포기하고
시키는 대로 조제만 한다
대체조제가 대세로되면
의사는 자기 상식대로 상품명 처방하고
약국은 규정대로 대체조제하면 된다
환자는 본인 부담액이 적고 약 효과가 좋은 약국으로 찾아 갈꺼고
약국들은 병의원 옆으로 몰리지 않아도 된다
문제는 의사에게 통보해야 된다는 번거로움을 어떻게 극복하는가가 문제다..
글쓴이 : 인디(yr0804)5 09-08-07 14:12
나는 08-07 19:27:10
대체조제 잘하고 있지요 대체조제불가찍힌것도 환자에게 설명하고 팩스날린다 모든약이 한제약회사로 된것에 대체조제도 아예인쇄되었더만 .. 의사도아니지 그런것들은..
인디님 말씀 08-07 20:03:31
정말 맞는 말이어요.성분명은 약사들 자질에 못믿을 구석이 있어요.반대합니다. 대체라도 잘 하면 .....
리베이트는 불법,백마진은 합법????
약사들의 백마진이 많이남는약으로 대체조재할경우,환자의 치료엔 관심없고 돈에만 관심있는건디,왜 리베이트가 아니여? 꽁무들아. 기준을 명확히해라.
의새들보거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30%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30%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30%는 주거든
많게는 80%에서 9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하루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1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1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36,000원이고 60일치면 7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500mg이나 40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500mg이나 40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의사들 보아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5%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5%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5%는 주거든
많게는 10%에서 3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1달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6,000원이고 60일치면 1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100mg이나 8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100mg이나 8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약국의 조제내역서 교부를 법제화하라.
불법대체조제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책임소재를 확실히 하라.
불법진료 행위를 막기위한 팜파라치를 양성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