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소아와 성인 응급실을 분리해 따로 설치토록 하는 응급의료법 개정안이 발의되자 응급의학과 교수들이 비용 조달의 문제 등을 제기하며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
서울의 모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5일 “우리나라 대형병원들은 바로바로 입원을 시킬 수 없는 구조이다 보니 소아환자들이 어쩔 수 없이 응급실로 오는 사례가 많고, 이들의 90% 이상은 경증환자”라고 강조했다.
이들 경증 소아환자들을 위해 응급실을 별도로 만드는 것은 소아 진료실을 추가로 만드는 것과 같다는 의미다.
특히 이 교수는 “경증환자들이 대형병원으로 몰리는 문제를 개선하지 않으면 소아 경증환자들이 진료를 받지 못해 응급실로 올 수밖에 없는 구조를 벗어날 수 없다”면서 "문제는 의료전달체계”라고 꼬집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화원(한나라당) 의원은 최근 응급의료기관은 소아와 성인 응급실을 따로 설치 운영해야 한다는 내용의 응급의료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상태다.
정화원 의원은 “전체 응급환자 중 소아 비율이 28%에 달할 정도로 적지 않지만 대부분의 응급실은 성인과 소아를 구분하지 않은 채 운영하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소아환자들이 중증 교통사고환자나 상해환자를 목격하면서 공포나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 있고, 면역력이 약한 소아의 경우 응급실에서의 2차 감염될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만약 소아응급실을 별도로 설치할 경우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을 뿐만 아니라 적자폭이 누적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한응급의학회 모 교수는 “현재 응급센터 원가보존율은 68~72%에 불과한 실정”이라면서 “소아 응급실을 별도로 만든다면 관련 진료과와 원무과 등도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비용 문제를 도저히 해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굳이 소아 응급센터를 따로 설치하려면 현 응급센터 수가를 100% 보존한 후 검토하는 게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여기에다 소아응급센터가 만들어지면 신생아실, 소아 중환자실도 늘리거나 만들어야 하는데 현재도 적자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병원의 경영난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응급의학회는 정화원 의원이 대표발의한 응급의료법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취합, 반대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외환 메디노블스 팜카드 0.7% Cashback!!!
▷외환 메디노블스가드 담당 김영호 입니다.
▶메디노블스카드는 1.의약품&의료기기 0.7%캐쉬백 / 2.일반가맹두 0.5캐쉬백 3.무이자 3개월은 기존 팜카드와 동일합니다.(연회비 없슴)
▶평생운영하시는 약국과 병의원(한의사/수의사포함)!!! 꾸준이 모으시면 티끌모아 태산이 됩니다.^^~
☞지금 곧 전화주시면 전국 어디든 달려가 발급해 드리겠습니다.
□H.P:010-2825-0558 김영호입니다
□e-mail: yes4ucard@naver.com
감사합니다.^^
똥
똥
산부인과응급실, 교통사고응급실, 내과응급실 다 만들지 그래!
아예 진료과별 응급실을 다만들라고 하지
우째 소아과 응급실만 만들라고 하는지요
우리병원 응급실만 문닫으면 병원 흑자로 돌아설 수 있습니다.
응급실이 공공성유지할려고 울며 겨자먹기로
운영하는 건데
응급실에서 엄청나게 수익이 나는줄 아시나 보네요
의원님 말씀이 맞지만.....
수가는 원가도 안되고 망하면 병원 책임이고...
우리나라가 공산주의 국가도 아니고...
우리나라가 사회주의 국가도 아니고...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이면서...
나는 말하테니 니네들이 알아서 해?
우리나라는 군사독재도 아닌데 왜 이런지...
이참에 응급실도 같이 닫어버려..
소아응급실을 만들지않으면. 응급실폐쇄해야되므로, 잘됬냉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