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교수-제약 손발 묶으면 땅 파서 신약 만드나"

발행날짜: 2011-07-18 12:16:14

쌍벌제, 약가인하 정책 우려 확산…"임상시험 위축 불가피"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최근 정부가 리베이트 쌍벌제와 약가 인하 정책을 통해 제약사를 강도높게 압박하자 제약계는 물론, 대학병원 교수들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대학병원과 제약사간 건전한 동반성장의 기회를 막아서는 세계 유수 기관들과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이 무너진다는 우려다.

A대병원 임상시험센터장은 17일 "정부가 신약 강국, 연구중심병원 육성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뒤에서는 병원과 제약사의 손발을 묶고 있다"며 "세계 유수 기관들과 싸워야 하는 글로벌 시대에 가장 큰 힘인 자본을 묶어 버리면 아무 것도 제대로 해낼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신약 개발은 제약사와 대학병원, 나아가 관련 산업과 정부가 발을 맞춰야만 이뤄낼 수 있는 기술집약의 결정체"라며 "비영리법인인 대학병원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제약사의 자본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한 산업이 무너지면 모두가 위태로워질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대학병원들이 국내 제약사의 약을 팔아주고, 제약사는 그 수익을 기초 연구에 투자하고, 대학병원은 그 연구를 돕고 임상을 맡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산업이 크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B의대 연구부학장은 "국내 대학병원들의 연구, 임상시험 능력은 세계 일류 수준"이라며 "언제까지 이러한 인프라를 다국적 제약사의 후기 임상에 써먹을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그는 "물론 현재 국내 제약사들과 병원의 관계가 후진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선진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지 연구자와 제약사들의 관계를 단절하고 자본을 쥐어짜면 결국 땅 파서 신약개발 하라는 말 밖에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제약계의 호소는 더욱 처절하다. 한·미 FTA, 한·EU FTA라는 시장개방을 앞두고 제약기업의 손발을 묶어버리면 어떻게 경쟁하겠냐는 하소연이다.

이에 따라 한국제약협회는 제약사 CEO 116명의 서명을 받아 청와대와 국회 등에 이같은 호소문을 전달했다.

사실상 절대 약자인 제약사가 정부를 상대로 이 같은 연판장을 전달했다는 것은 배수진을 쳤다는 방증이다.

C제약사 관계자는 "다국적 제약사의 제네릭을 만드는데도 헤매던 국내 제약사들이 이제서야 신약을 만들어 내며 꽃봉오리를 피우기 시작했다"며 "아직 꽃을 피우지도 못했는데 이렇게 몰아대면 모두가 고사할 수 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그는 "신약개발의 주체는 결국 제약기업이며 이러한 힘은 자본에서 나오는 것"이라며 "당장의 건보 재정도 중요하지만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못 박았다.
댓글 2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ㅁㄴㅇㄹ 2011.07.19 10:40:34

    마적단체
    주돈식 복지부 차관으로 생각되는데 아마도 그 시절부터 칼을 갈은 것 같다. 그리고 의사단체가 약국 개업을 허용하다가 이런 꼴을 맞이하게 된 것인데.

    중요한 점은 지방대 의대나 약대를 나와도 서울대 나온것 부럽지 않다는 말이 나온 것은 보건 5단체가 서로의 밥그릇을 상호 인정 방어했기 때문에 재벌 제약회사들도 의사 약사에 굴복한 것이다.

    그 밥그릇을 깬 것은 약대출신들의 무한정한 탐욕때문이다.
    약국단체가 먹어치운 먹탐을 보도록 하자.
    1.동물약.짐승약 가축약. 가축 항생제
    2.한약
    3.일반약 전문약.
    4.의료기기
    5.건강식품
    의료기기 건강식품을 의사가 판매할때는 신고허가를 받아야한다. 세금과다가 연상되는 대목인데 약사법에 약국은 예외로 되어 있다. 삭제가 요구되는 부분이다.

    약대는 약품공대가 제 할일인데 식약청을 비롯해서 심평원 녹소연 민주노총 민주노동당에 이르기까지 돈을 위해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중요한 점은 약품은 의사 재산이라는 점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일반약 수퍼판매 카드를 꺼내들은 것은 탁월한 선택이고 의사는 의사재산 안 뺏기고 의약분업을 깨면 노예생활 벗는 것이고 일반약 수퍼판매로 약사들을 죽여놔야 한다.

    일반약 전환을 보면 국민을 위한다는 시민단체의 두껍을 쓴 약국단체 녹소연 경실련이 눈에 띈다. 녹소연 경실련은 고가약 오남용약물 항생제를 닥치는 대로 약탈하였다. 어찌 이럴수가? 소비자 시민모임은 그래도 공정하고 형평성이 맞은데 녹소연과 경실련은 고가약물을 닥치는 대로 약탈한 증표이다.

    약국이 죽은 후에 그 후에 약국을 폐쇄하고 약국재산을 몰수한다.

  • 제약사 2011.07.18 15:13:46

    한국의료는 약사가 다 망쳤다!
    의료의 발전, 신약개발, 신기술연구 등
    모든 의료발전이나 의학연구가 약관 관련이 있으면
    약사의 약 독점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약사의 저항에 부딪힌다.
    그러면 모든 걸 리베이트로 몰아부친다!
    빨리 영리병원, 신약개발, 의료신기수 등을 약사의 방해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하는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