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 의료기관의 새로운 역할과 수입원으로 기대를 모았던 금연상담.
하지만 정작 금연치료 건강보험 시범사업(이하 시범사업)을 시행된 지 약 10개월이 된 현재 시점에서 종별 의료기관 비율을 기준으로 볼 때 환자들은 금연상담을 위해 병원급 의료기관을 더 자주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10월 말까지 시범사업에 참여한 요양기관은 총 10만 45개소다.
시범사업에 참여를 신청한 요양기관은 총 20만 56개소였지만, 이 중 절반가량의 요양기관만이 금연상담을 실시하고 상담료를 청구한 셈이다.
구체적으로 의원급 의료기관은 총 9183개소가 시범사업에 참여했으며, 병원급 의료기관은 676개소가 금연상담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의원급 의료기관은 약 10개월 동안 14만 16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급은 2만 6222명의 환자를 상대로 금연상담을 진행했다.
환자 수로만 따지만 1차 의료기관인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주로 금연상담을 실시했다고 봐도 무방한 결과다.
하지만 건보공단은 금연상담을 실시한 의원급과 병원급 의료기관 수를 고려했을 땐, 오히려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금연상담을 더 많이 실시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의원급 의료기관은 지원사업 신청기관 대비 67.5% 만이 금연사업에 참여한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은 신청기관 대비 77%가 시범사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범사업 실시에 따라 병원급 의료기관의 참여도가 더 높고, 환자들도 금연상담을 위해 의원급 의료기관이 아닌 병원급 의료기관을 더 찾는다는 것이다.
금연치료 참여 현황(10월 31일 기준)
건보공단 관계자는 "당초 시범사업이 의원급 의료기관의 금연상담 활성화를 생각하고 실시했다"며 "하지만 10개월 가까이 시범사업을 운영한 결과 오히려 병원급에서 금연상담이 더 활성화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특히 건보공단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의료전달체계 문제가 지원사업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현황 파악을 해보면 병원급 의료기관의 금연상담이 더 체계적이다"라며 "따라서 환자들도 체계화된 병원급 의료기관의 금연상담이 더 효과적이라고 느낄 수 있다"고 전했다.
그는 "결국 병원급 외래 진료가 활성화된 의료전달체계 문제가 지원사업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라며 "의료전달체계가 개선돼야 관련된 문제도 해결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건보공단은 최근 지원사업 참여 의료기관 인센티브 방안으로 금연상담 우수 의료기관에 인증마크를 부여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더불어 건보공단은 오는 2016년 1월부터는 지원사업 의료인 교육 미이수 자에 대에서는 참여를 제한한 예정이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