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최근 쌍벌제 법안논의가 급물살을 타면서 개원가 분위기가 심상치않다.
20일 개원가에 따르면 잠시 주춤했던 쌍벌제 논의가 다시 수면위로 부각되면서 정부에 대한 반발심리가 확산, 제네릭에서 오리지널로 처방을 바꾸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의사협회 의약품가격 및 유통구조개선TF가 약식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쌍벌죄가 도입시 약 처방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약 80%가 '오리지널로 바꾸겠다'고 답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의협은 조만간 정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쌍벌제 도입에 따른 약제비 변화를 점쳐볼 계획이다.
정부의 거듭되는 압박을 모두 참았지만 쌍벌제는 의사의 마지막 자존심을 건드리는 '결정적 한방'이라는 게 개원의들의 전언이다.
이 같은 조짐은 제네릭 비중이 높은 한미약품, 유한양행 등 국내 제약사의 원외처방액 현황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한미약품의 경우 지난해 리베이트 및 약가연동제 도입에 따라 지난해 10월 19.0%였던 원외처방액 증가율은 11월 9.7%로 급감하기 시작, 12월에는 -0.9%로 뚝 떨어졌다. 이는 올해 들어서도 4%, 4.8% 6.2%를 기록하는 한자리수 증가율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 A내과 개원의는 "만약 쌍벌제가 도입된다면 오리지널 약 처방이 늘어나 결과적으로 약제비 증가를 초래할 것"이라며 "결정적인 이유는 정부에 대한 반발심리 등 감정적인 부분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순히 감정적인 것 이외에도 쌍벌제는 제네릭 비중이 높은 국내제약사들의 영업활동을 제한할 것이고, 제네릭에 대한 홍보 및 사전 정보가 부족한 개원의들은 자연스럽게 약 효과가 높은 오리지널 약을 선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남도 의사회 관계자는 "의사를 범법자로 몰아가는 데 어떻게 가만히 있겠느냐"며 "누가 뭐라고 얘기 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개원의들이 오리지널 처방으로 돌아설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대한개원의협의회 관계자는 "의사의 직업적 특성 중 하나가 자존심을 건드리는 것에 대해 민감한데, 그런 점에서 쌍벌제는 개원가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이라며 "정부는 쌍벌제 도입 이전에 약제비 증가에 대한 대책부터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한미꺼는 절대 쓰지 말자..
한미꺼 절대 쓰지 말자..
제약사애들이 법안 로비 한거같네
기사 보니까
그냥 회사 매출 줄이면 됩니다
재정도 줄여주고 약제비도 절감해 줍시다
반정도로
제발 파업좀 합시다.
노예취급당하면서 무슨 빚을 졌다고 참고 있나요? ICU, ER 다 문닫고 1주일 휴가 가면 될 것을
오리지날만 쓰다가는 성분명 처방 됩니다.
그게 이나라 약공의 전략입니다.
자존심이 아니라 돈이겠지...
자존심이 아니라 돈이겠지...
약값의 10~20%의 리베이트를 포기 못하겠냐?
약값의 10~20%의 리베이트를 포기 못하겠냐?
결국 돈 때문이구나... 그렇게 다른 직종들 돈벌레라고
욕지거리 해대더니... 약값의 리베이트는 포기 못 하껬냐...???
이때까정 카피약 처방한 것은 리베이트 받을라고..
그런거야?????
국내사 걱정 하지 마세요.
언제는 국내 제약사 걱정했어요.
아~~~예~~~
아~~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