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혁신형 제약사 국감에서 잇단 뭇매 "괜히 선정됐다"

이석준
발행날짜: 2012-10-06 06:38:42

과거 리베이트 지적에 난감…"쌍벌제 이전 행위 왜 자꾸 들추나"

양승조 의원.
국정감사 첫날인 5일. 혁신형제약사들이 과거 리베이트 때문에 뭇매를 맞았다.

민주통합당 양승조 의원은 혁신형 인증기업 중 리베이트 적발 및 조사 중인 제약사 실명까지 거론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통합당 양승조 의원은 혁신형 인증 기업 중 리베이트가 혐의가 확정되거나 조사를 받는 제약사가 13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양 의원에 따르면 건일제약과 한국오츠카는 혁인형 인증 이전에 리베이트가 확정됐고, 대웅제약, 동아제약, 신풍제약, 유한양행, 일동제약, 종근당, 한미약품, 현대약품, CJ제일제당, JW중외제약 등 11개 기업도 현재 리베이트 혐의로 조사중이다.

양 의원은 "혁신형 기업으로 인증된 제약사들의 리베이트 행위가 적발됐지만 복지부의 처분이 지지부진하다.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기업을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한다는 것은 정서상으로 타당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다른 몇몇 의원들도 양 의원 의견에 동조했다.

김성주 민주통합당 의원도 "리베이트 제공 혐의로 제판 중인 혁신형 제약사가 15곳 안팎인데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복지부가 아무런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 특정 업체 봐주기 의혹이 든다"고 따져 물었다.

상황이 이렇자 혁신형 제약사들은 인증이 오히려 족쇄가 됐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리베이트 행위는 벌 받아야 마땅하지만 쌍벌제 이전 행위를 언제까지 물고 늘어질 것이냐고 불만이었다.

한 관계자는 "혁신형 제약 43곳에게 책정된 지원금은 고작 80억원이다. 한 곳에 밀어줘도 부족한 금액이다. 하지만 제제는 갈수록 심해진다. 타이틀은 얻었지만 족쇄를 찬 기분이다. 잘하면 본전 못하면 독박"이라고 밝혔다.

또다른 관계자도 "혁신형 인증 이후 사소한 잘못만 해도 큰 비난을 받는다. 특히 쌍벌제 이전 리베이트 행위도 '혁신형 제약 리베이트 충격' 이런 식으로 평가 받는다. 꼬투리 잡히면 헤어나오기가 힘들다. 기업 이미지만 추락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