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금연 처방약 '챔픽스' vs '부프로피온' 선택은 바로…

이석준
발행날짜: 2015-01-26 06:05:30

분석12주, 52주 금연율 및 부작용 등 안전성 비교

의사 처방이 필요한 금연치료보조제는 '바레니클린(상품명 챔픽스)'과 '부프로피온 서방정(웰부트린 서방정 등)' 두 가지 성분이다. 정부의 금연 정책과 맞물려 두 성분은 조만간 건강 보험 혜택을 받는다.

성분이 다른 만큼 두 약제는 작용 기전 등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허가사항 적응증만 봐도 '바레니클린'은 '금연치료 보조요법', 애초 항우울제로 승인된 '부프로피온'은 서방정에 한해 '니코틴 의존 치료를 위한 단기간 보조요법'으로 쓰인다.

차이점은 많지만 의사들이 약을 처방할 때 가장 우선시 평가하는 대목은 두 가지로 좁혀진다. 바로 금연 효과와 안전성 부문이다.

메디칼타임즈는 '바레니클린'과 '부프로피온'의 금연 효과 등을 비교한 주요 임상 데이터들을 살펴봤다. 3개 논문 모두 2006년 JAMA에 실린 내용이다.

단, 임상 결과가 특정 약제의 우열을 뜻하는 것은 아니며 두 성분의 처방은 환자 상태를 판단한 의사 고유의 몫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바레니클린(챔픽스, 좌), 부프로피온(웰브트린, 우)
◇52주 장기금연율 비교 연구(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 위약)

출처: Gonzales D, et al. Varenicline,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vs. sustained-release Bupropion and placebo for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July 5, 2006, Vol 296, No 1)

성인 흡연자 1025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단기 금연 카운셀링과 함께 약물 치료 병행 후, 약물 치료 없이 추가 40주간 추적 조사를 했다. 그 결과, 12주 금연 성공률은 '바레니클린'군 44%, '부프로피온'군 29.5%, 위약군 17.7%였다.

9~52주까지 장기 금연율은 '바레니클린'군 21.9%, '부프로피온'군 16.1%, 위약군 8.4%였다.

참고로 '부프로피온'은 국내에서 니코틴 의존 치료를 위한 단기간(7~12주) 보조요법으로 쓰인다. '바레니클린'의 권장 치료 기간은 12주다.

52주 장기금연율 비교 연구(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 위약)
◇단기 및 장기 금연율 비교 연구(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 위약)

출처: Douglas E, et al. Efficacy of Varenicline, an α4β2 Nicotonic Acetylcholine receptor partial agonist, vs. placebo or sustained-release Bupropion for smoking cessation (JAMA July 5, 2006, Vol 296, No 1)

성인 흡연자 102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단기 금연 상담과 함께 약물 치료 후 총 52주까지 흡연 상태를 추적했다. 그 결과 12주 금연 성공률은 '바레니클린'군 43.9%, '부프로피온'군 29.8%, 위약군 17.6%였다.

이상 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율은 '바레니클린'군 10.5%, '부프로피온'군 12.6%, 위약군 7.3%의 수치를 보였다.

단기 및 장기 금연율 비교 연구(바레니클린, 부프로피온, 위약)
◇52주 금연 유지 효과 연구(바레니클린, 위약)

출처: Tonstand S, et al. Effect of Maintenance therapy with Varenicline on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6;296(1):64-71)

먼저 성인 흡연자 192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바레니클린'과 위약을 투여한다.

이후 치료 최종 7일(12주째) 동안 금연한 환자 1236명(64.1%) 중 1210명을 다시 무작위로 '바레니클린'군(n=603) 또는 위약군(n=607)에 배정해 추가로 12주 동안 '바레니클린' 투여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금연 지속율은 '바레니클린'군 70.5%, 위약군 49.6%였다. 52주 추적 조사도 '바레니클린(43.6%)'이 위약(36.9%)보다 높았다.

52주 금연 유지 효과 연구(바레니클린, 위약
◇부작용, 복용 금기자 등 안전성

'바레니클린' 주요 부작용은 구역, 구토, 수면 장애, 변비(복부팽만), 매스꺼움, 울렁거림, 특이한 꿈, 미각변화 등이다.

복용 금기자는 임산부 및 수유부, 18세 미만 소아 및 청소년, 심장질환자, 노인환자, 심근경색, 우울증 및 신경정신과 환자 등이다.

주목할 점은 미국 FDA가 지난해 9월말경 '바레니클린'의 제품 설명서상 안전성 프로파일을 업데이트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바레니클린'의 최근 진행된 임상 시험 결과 자살행동 유발 가능성 등 정신과적 문제를 일으킨다는 근거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반영됐다.

다만 경고문에는 아직 '바레니클린' 복용자는 불안과 적개심, 우울증, 자살행동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문구는 살아있는 상태다.

'부프로피온' 주요 부작용은 두통, 오심, 구강건조 및 갈증, 변비, 수면장애, 구토, 식욕변화, 초조 등이다.

복용 금기자는 임산부 및 수유부, 18세 미만 소아 및 청소년, 약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발작병력 환자, 중추신경계에 종양이 있는 환자, 알코올 또는 진정약물을 갑자기 중단한 자, 대식증 또는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 MAO 억제제 투여 중인 환자 등이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