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코다당증과 같은 희귀질환은 조기진단이 환자의 질환 진행 예후를 좌우하는 만큼 질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밀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진단과 치료가 어려웠던 희귀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는 희귀질환이 존재하지만, 유전체 의학의 발전에 따라 질환에 대한 접근도 또한 꾸준히 올라가고 있는 상황.
하지만 여전히 희귀질환자들은 진단 방랑 상황에 놓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치료제가 있는 희귀질환의 경우 적절한 진단을 통한 예후 개선이 중요한 과제로 꼽히는 이유다.
이와 관련해 삼성서울병원에 있는 국내 유일의 뮤코다당증 센터의 조성윤 센터장(소아청소년과 교수)은 희귀질환에 관한 관심이 치료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뮤코다당증(mucopolysaccharide, MPS)은 리소좀 축적 질환 중 하나로 체내 저장물질인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을 분해하는 특정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유발된다.
또 질환이 7가지 아형으로 구분돼 아형별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거친얼굴(coarse face), 다모, 뼈의 변형, 저신장 등 공통적인 외형적 특징을 갖는다.
현재 치료제가 나와 있는 뮤코다당증은 제1형, 제2형, 제4a형과 제6형, 제7형으로, 글로벌 표준 치료법인 효소대체요법(ERT, Enzyme Replacement Therapy)이다.
ERT는 환자의 몸에 거의 없거나 부족한 효소 단백질을 정맥으로 투여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법으로 해당 치료가 가능해지면서 환자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렇듯 뮤코다당증이 희귀질환임에도 아형에 따른 진단부터 치료까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는만큼 질환에 특화된 센터가 있다는 점은 의미가 크다는 게 조 센터장의 시각이다.
조 센터장은 "삼성서울병원은 오래전부터 뮤코다당증 환자를 위한 모임을 만들고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며 "그러던 중 2016년부터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에서 뜻을 함께해 센터가 만들어지면서 행정인력을 갖추고 매년 일정 금액이 환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확보해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뮤코다당증 질환에 특화된 센터가 생기면서 희귀질환이지만 오히려 작아 보이지 않는 효과가 생겼다"며 "환자들을 위한 공간이 만들어짐으로써 의료진과 제약회사에서 질환에 대한 관심을 두게 되고 이는 신약 개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시아 환자 많은 제2형 뮤코다당증…"연구 관심 필요"
현재 국내에서는 뮤코다당증 중 제2형 뮤코다당증인 헌터 증후군의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다. 헌터 증후군은 X 염색체 관련 열성 질환으로 나머지 뮤코다당증 아형은 상염색체 열성 질환이다.
조 센터장은 "국가마다 인종에 따라 유전적 차이가 있어 아시아 지역에 헌터 증후군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정 돌연변이가 한 나라에서 유전이 많이 되면 그 지역에 발병이 높은 아형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다만, 조 센터장은 여전히 뮤코다당증 치료제의 대부분이 미국을 중심으로 개발되면서 제1형 뮤코다당증 치료제 개발과 사용이 활발하다는 점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그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제2형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럼에도 헌터증후군에 엘라프라제(성분명 이두설파제)와 같은 치료옵션이 존재한다는 점은 환자 치료 면에서 긍정적이라는 게 조 센터장의 평가.
치료제 옵션 중 하나인 엘라프라제는 지난 2006년 미국 식품의약국 허가를 받은 이후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 77개국에서 허가받아 전 헌터증후군 치료제로 약 15년간 사용되고 있다.
조 센터장은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헌터 증후군 치료제 모두 좋은 치료제"라며 "치료제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다른 치료제로 바꿔서 증상이 완화되는 사례를 많이 경험했기에 환자 입장에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이 있다는 것은 좋은 점이다"고 말했다.
뮤코다당증 치료제와 관련해 여러 임상을 진행 중인 조 센터장이 최근 주시하고 있는 분야는 아직까지 허가받은 치료제가 없는 제3형 뮤코다당증 분야다.
조 센터장에 따르면 현재 제3형 뮤코다당증 치료제는 정맥 투여로 뇌혈관장벽(Blood Brain Barrier, BBB)을 투과하는 치료제와 머리에 직접 주는 치료제, 유전자 치료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는 "전임상에 있는 후보물질과 임상에 도입한 후보물질이 있지만 쉽게 개발될 것 같지는 않다"며 "현재 제3형 중 비교적 환자가 많은 제3a형과 제 3b형에 대한 치료제가 임상 1상에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뮤코다당증 환자의 경우 진단 시 빠른 치료가 중요해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게 조 센터장의 의견.
조 센터장은 "뮤코다당증 진료와 치료를 하는 의사 입장에서는 선별 검사가 원활하게 진행됐으면 하는 소망이 있지만 검사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즉 , 희귀질환이라는 특성상 조기진단이 필요하지만 반대로 질환이 가지는 범위의 한계로 자원 투자가 쉽지 않은 만큼 임상현장과 보호자들의 관심이 더욱 강조된다는 의미.
조 센터장에 따르면 신생아에서 발견되는 몽고반점이 심한 경우 등 전체에 있기도 해 조기진단에 중요한 힌트가 될 수 있으며, 아이가 머리가 큰 편이고 잦은 중이염, 탈장 증상, 부모를 닮지 않은 등의 특징이 보이면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끝으로 조 센터장은 "희귀질환의 조기진단이 환자의 질환 진행 예후를 좌우하는 만큼 질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우 모임 등도 활성화됐으면 좋겠고, 신약 개발을 위해 나라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