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학술대회

로봇 근치적 전립선적출술, 요억제력 회복에 효과

박진규
발행날짜: 2009-12-18 12:26:32

연세의대 최영득 교수팀, 경복막 접근 수술법과 비교 연구

복막외 접근 로봇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은 경복막 접근 로봇수술에 비해 장 관련 합병증을 줄이고 요자제력 회복을 빠르게 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의대 비뇨기과학교실 최영득 교수팀은 최근 학계에 발표한 '로봇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에서 경복막 접근법과 복막외 접근법의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와 합병증 비교'란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교수팀은 2005년 8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단일 수술자에 의해 경복막 접근 로봇수술(TP)을 받은 군(156명)과 복막외 접근 로봇수술(EP)을 받은 군(149명)으로 나눠 두 수술법의 결과를 비교했다.

두 군간 평균연령, Gleanson score, 병리학적 병기 차이는 없었다. 수술시간, 재원기간, 술중 출혈량도 비슷했다.

콘솔(console) 시간은 EP 군이 TP 군에 비해 유이하게 낮았고, 수술 후 통증의 크기도 EP 군이 TP 군보다 낮았다. 수술절제면 양성률은 TP와 EP군이 pT2에서 각각 18%, 11%, pT3에서 31%, 39%로 차이가 없었다.

술후 합병증은 TP와 EP군에서 장마비, 탈장, 림프류 등이 각각 4.2%대 0%, 8.5%대 0%, 2.4%대 9.7%로 각각 나타났다. 림프류는 EP군에서 발생률이 높았지만 장마비와 탈장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수술 후 발기력은 양쪽 신경혈관다발총을 보존한 환자의 경우 술후 3개월과 6개월째에 TP 군이 38%, 51%, EP 군이 41%, 50%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술후 요자제율은 술후 3개월, 6개월째에 TP 군이 59%, 79%였고 EP 군이 71%, 87%로 EP 군이 빠른 회복을 보였다.

최영득 교수는 "복막외 접근 로봇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은 경복막접근 로봇 수술에 비해 장관련 합병증의 빈도를 줄이면서 요자제력 회복에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며 "향후 장기간 외래 추적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