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소아 삼출성 중이염…방치하면 언어발달 방해

메디칼타임즈=임수민 기자소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삼출성 중이염을 방치할 경우 고막에 구조적 이상이 발생해 만성 중이 질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어 부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이대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신승호 교수는 "삼출성 중이염은 대개 호전되지만, 일부 고위험군은 삼출성 중이염 잘 낫지 않게 되고 만성화되어 고막에 구조적인 이상이 생기게 된다"며 "이런 경우 만성 중이 질환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에 부모들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2일 경고했다.소아에게 흔히 나타나는 삼출성 중이염을 방치할 경우 고막에 구조적 이상이 발생해 만성 중이 질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어 부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오는 9월 9일은 숫자 9와 모양이 닮은 귀를 건강하게 지키자는 의미에서 제정된 '귀의 날'이다. 청력은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는 영역으로 '100세 시대'를 살아갈 아이의 귀 건강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아이가 갑자기 귀를 자꾸 만지거나, 보챈다든지, 고름이 흘러나올 때는 급성 중이염을 의심할 수 있고 병원에서 치료가 이뤄진다.하지만 삼출성 중이염의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진단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가 이뤄지지 않으면 언어발달이 저해되거나 고막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게 된다.중이염은 귀의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발병 시기에 따라 '급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구분되며 중이강 내 염증성 물질에 따라 농성 분비물이 고이는 '화농성 중이염', 장액성 분비물이 있는 '삼출성 중이염'으로 나뉜다.급성 중이염은 특히 이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10세 미만 소아에게서 잘 생기는데 특히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에 가장 많이 발병하며 3세까지 약 70%의 소아가 적어도 1회 이상 급성 중이염을 앓는다고 알려져 있다.신 교수는 "소아는 코의 뒤쪽 부분인 비인강과 중이를 연결하는 관인 유스타키오관(이관)이 성인에 비해 짧고 수평으로 위치해 코의 균이 쉽게 중이로 들어가 중이염이 발생하기 쉬운 구조"라고 소아에서 급성 중이염이 흔한 이유를 설명했다.이어 "급성 중이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 감염 중에 자주 발생한다"며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보육 시설에 다니게 되면 감기에 자주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급성 중이염이 자주 발생하거나 삼출성 중이염이 낫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전했다.아이가 귀의 통증이나 발열과 같은 증상 없이 TV 소리를 크게 듣거나 말을 자꾸 되묻거나 말이 늦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단과 검사가 필요하다.만약 아이가 삼출성 중이염 진단을 받게 되면 항생제를 투약 받을 수도 있고 감기에 걸리지 않게 하면서 자주 지켜봐야 한다. 만성 부비동염 (축농증) 등이 있으면 중이염 치료를 위해 만성 부비동염은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3세 미만 소아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삼출성 중이염은 중이 내의 삼출물로 인해 청력 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청력 검사를 받아 봐야 한다.3개월 이상 양측성 삼출성 중이염이 지속되거나 고막의 구조적 이상이 발생하거나, 자주 급성 중이염이 발생한다면 고막 안에 고인 삼출물을 제거하고 중이 내부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환기관을 삽입하는 것이 좋다.신 교수는 "낫지 않는 삼출성 중이염은 장기간의 항생제 치료만 하는 것보다는 수술적 치료가 아이에게 도움이 더 될 수 있다"며 "아이가 소리에 반응하는 것을 한 번 더 살피고 관심을 가져야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뤄져 중이염 합병증과 언어 발달 지체에 대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4-09-02 17:34:07병·의원

경쟁체제 앞두고 의료진 보강하는 '의정부 대학병원들'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오는 3월 말 개원을 앞두고 의정부을지대병원이 의료계 내에서 큰 족적을 남긴 유명 교수진을 영입한 데 이어 인근에 위치한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도 최근 의료진을 대거 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계에서는 지역에서의 본격적인 경쟁체제를 앞두고 의료진 영입을 통해 환자잡기에 나선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왼쪽부터 의정부을지대병원,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이다. 3월 말부터 의정부을지대병원이 본격 개원하면서 지역의 경쟁체제가 예고됐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정부을지대병원은 오는 3월 29일 개원을 앞두고 보직 인사를 단행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영입한 국내 유명 교수진을 전면에 내세웠다. 먼저 서울아산병원에서 외래부장, 교육부원장을 거치고 대한위암학회장을 역임한 김병식 교수가 의정부을지대병원 외과를 책임지는 동시에 을지대의료원장을 맡기로 했다. 여기에 서울아산병원, 서울성모병원을 거친 관상동맥우회술 권위자 송현 교수가 자리를 옮겨 의정부을지대병원 진료1부원장으로 활약할 예정이다. 이 밖에 추가 영입한 의사들을 살펴보면 그 면면이 화려하다. 단순히 정년퇴직한 원로 교수 영입에 그치지 않은 모습이다. 내과계 권위자로 ▲당뇨병 전문의 내분비내과 이문규 교수 ▲감염성 질환 전문의 감염내과 우준희 교수 ▲부정맥 전문의 심장내과 김유호 교수 ▲뇌졸중 전문의 신경과 윤병우 교수(병원장) 등이 의술을 펼친다. 외과계는 ▲부인암 분야의 명의인 산부인과 배덕수 교수 ▲유방암 권위자인 외과 송병주 교수 ▲췌장암, 담도암, 담낭암 분야에서 저명한 최동욱 교수 등이 암 수술의 집도를 맡는다. 이 같은 의정부을지대병원의 적극적인 행보는 개원을 앞두고 스타 교수를 영입, 지역 환자 잡기에 나서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기존 대형병원들이 분원 건립 시 지역 환자를 붙잡기 위해 흔히 해오던 방식이다. 의정부을지대병원 행보에 자극을 받은 것일까. 기존 지역 환자를 도맡아 책임져 왔던 의정부성모병원도 의료진을 추가 배치해 맹주자리 지키기에 나선 모양새다. 실제로 의정부성모병원은 지역 의료서비스를 강화한다는 이유로 신규 의료진 20명을 대거 영입했다. 소화기내과에서는 서울성모병원에 있던 간질환 전문의 남희철 교수, 위장관 질환 전문의 남궁지수 교수, 신상오 교수, 신승호 교수가 합류했다. 이는 주류 소비율이 높은 지역 특성과 인구 급성장과 맞물려 잠재적인 간 질환 환자의 수요가 다수 예측됨에 따라서다. 또한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에 있던 전호욱 교수도 의정부성모병원에 합류했다. 동시에 내분비내과의 골대사와 당뇨병 전문을 담당할 정채호 교수와 신장내과의 급·만성 신장질환과 고혈압을 전문으로 하는 김은지 교수가 합류해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진료하게 됐다. 이 밖에 외계계에서는 ▲간담췌외과 김나루 교수 ▲유방갑성선외과 안준용 교수, 김용선 교수 ▲정형외과 전유승 교수 등이 합류했으며, 안과 최순일 교수와 오혜영 교수도 의정부성모병원에 합류했다. 여기에 의정부성모병원은 신경과와 비뇨의학과, 성형외과, 방사선종양학화, 마취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까지 대부분 진료과목에 신규 의료진을 배치하면서 의료서비스의 질을 강화했다. 박태철 병원장은 "이번의 대대적인 전문 분야별 신규 의료진 영입을 통해 지역 내 의료서비스 체계가 가일층 강화됐다"하며 "항상 제 자리에서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성장하는 모습으로 지역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같은 두 대학병원의 대대적인 의료진 보강을 두고서 본격적인 경쟁체제에 돌입함에 따라 의료진 영입 혹은 보강을 통해 민심잡기에 나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장은 "의정부를 포함한 경기서북 지역은 수도권 유입도 있지만 지역에서 담당하는 역할이 크다. 군이 밀집한 지역의 특성상 외과가 특히 중요한 분야"라며 "이 때문에 의정부을지대병원이 외과에서 인지도가 높은 의료인력을 영입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의정부성모병원은 전국에서도 손꼽힐만한 외상센터를 보유한 곳 중에 하나"라며 "군이 밀집한 지역이라 외상이 특히 많기 때문이다. 결국 지역환자에 더해 외과의 경쟁이 가장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1-03-15 10:57:43병·의원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