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성심병원 연병길 교수
정부가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치매환자들은 건강보험상 제한이 많을 뿐만 아니라 요양시설에서 기피하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는 지적이다.
강동구 치매지원센터(센터장 강동성심병원 연병길 교수)가 최근 개소 1주년을 맞았다.
치매지원센터는 서울시의 예산을 지원받아 운영되고 있으며, 보건복지가족부는 서울시의 운영사례를 모델로 삼아 보건소를 통한 치매 조기검진사업을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동구 치매지원센터는 지난 1년간 5천여명을 대상으로 치매예방검진을 실시했으며, 저소득층 치매 치료비 지원, 인지재활치료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연병길 센터장은 6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복지부가 치매노인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하겠다고 밝힌 것은 바람직하다”면서 “하지만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개선할 점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건강보험 적용의 한계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연병길 센터장은 “치매치료제는 약에 따라 초기, 중기에 효과가 뛰어난 약이 있는 반면 중기, 말기에 효과적인 것도 있다”면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병용투여를 하면 1개만 보험에서 인정하기 때문에 환자들의 비용 부담이 크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의료급여환자들은 원내처방만 가능한데 하루 2700원을 초과한 약값에 대해서는 병원이 고스란히 손실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면서 “치매는 학력이 낮고, 저소득층에서 많이 발병하지만 건강보험의 제한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노인장기요양보험과의 연계가 잘 되지 않는 것도 개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연 센터장은 “요양시설 입소자의 40% 가량이 치매환자들인데 이들은 건강보험의 테두리에서 치료를 병행해야 하지만 현재 요양시설에서 보호만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요양시설에서도 입소를 거부해 갈 데가 없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장기요양등급 판정을 받지 못한 치매 초기환자에 대해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과 결합해 사례관리를 해야 예방사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못 박았다.
특히 그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간 전달체계를 정립, 요양시설은 기본적 수발이 필요한 치매노인들을 받고, 요양병원은 그보다 한단계 높은 환자들을 치료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