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의 처방약(전문약) 부문 상승세가 가파르다. 수년간 처방약 부문 1위 기업 대웅제약을 턱밑까지 추격한 것.
상반기 이들 회사의 EDI청구액 차이는 2억원에 불과했다.
그간 동아는 매출액(일반약, 전문약, 의약외품 등) 부문에서는 수십년간 1위를 지켜왔으나, 상대적으로 처방약 부문은 약했다. 이 회사의 성장세가 주목받는 이유다.
EDI청구액이란 요양기관으로부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진료비 청구내역을 전자문서교환방식으로 받아 산정한 약제비다.
27일 <메디칼타임즈>가 국내외 제약사 상위 50대 기업의 상반기 EDI 청구액을 분석한 결과, 동아제약은 2366억원을 기록, 작년 같은 기간(2076억원)과 견줘 13.97% 증가했다. 1위 대웅제약(2368억원)과는 불과 2억원 차이다.
업계는 이에 대해 자체 개발 신약과 제네릭(복제약), 도입신약의 절묘한 조화가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D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스티렌', '자이데나' 등 자가신약과 '플라비톨'(플라빅스 제네릭), '리피논'(리피토 제네릭) 등 복제약, '오팔몬' 등 라이센스 품목이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처방약 시장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기업인 종근당도 역시나 좋은 모습을 보였다.
1599억원의 청구액으로 전년 상반기(1370억원) 대비 16.72% 증가했다. 성장률만 따지면, 동아제약(13.97%)보다 높은 수치다.
K증권사 연구원은 "주력제품은 딜라트렌(고혈압치료제)의 안정적인 매출 증가와 살로탄(코자제네릭), 리피로우(리피토제네릭), 이토벨(가나톤제네릭) 등 대형 블록버스터 제네릭의약품의 매출 확대가 호조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밖에 일동제약(1128억원, 12.57%), 신풍제약(1032억원, 18.62%), 녹십자(854억원, 12.96%), 삼진제약(792억원, 20.55%), 보령제약(744억원, 10.06%), 한림제약(560억원, 22.04%), 대원제약(505, 22.28%), 안국약품(490억원, 15.02%), 명문제약(15.96%), 이연제약(443억원, 21.7%), 코오롱제약(401억원, 11.08%) 등 11개사가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였다.
EDI 청구액 국내 상위제약사 현황(단위: 억원, %)
반면, 한미약품(2154억원, 1.17%), 한독약품(2052억원, -4.87%), 중외제약(1417억원, -0.28%), 국제약품(537억원, -5.46%), 건일제약(461억원, 3.83%), LG생명과학(392억원, -10.5%), 태준제약(370억원, -2.63%), 삼일제약(353억원, -17.1%), 태평양제약(338억원, -5.32억원), 환인제약(334억원, 2.77%) 등은 매출이 정체되거나 역신장하며 고전했다.
EDI 청구액 다국적 상위제약사 현황(단위: 억원, %)
다국적제약사 중에서는 노바티스가 2000억원을 돌파하며, 화이자를 제치고 1위에 올랐다. 2014억원의 청구액으로 전년 상반기(1629억원) 대비 23.63% 증가했다.
MSD(1336억원, 14.48%), 바이엘코리아(1189억원, 15.32%), 아스트라제네카(1020억원, 13.71%), 로슈(762억원, 27.42%), BMS(556억원, 35.94%), 한국아스텔라스제약(542억원, 15.81%), 박스터(498억원, 10.67%), 오츠카제약(491억원, 10.59%), 애보트(438억원, 23.38%) 등도 좋은 성적을 냈다.
반면 GSK(1598억원, 0.88%)와 얀센(901억원, -6.15%)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