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외자사

아바스틴, 사망률 11%·뇌졸중 확률 57% 높다

안창욱
발행날짜: 2011-05-10 20:32:46

존스홉킨스대 고어 박사팀, 대규모 임상 연구결과 발표

존스홉킨스대학 고어(Gower) 박사팀이 최근 미국에서 열린 시과학연구학회(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thalmolgy, ARVO) 2011년 학술대회에서 연령 관련 황반변성으로 메디케어에서 수급받은 약 7만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규모 안전성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 등이 보도했다.

이 임상 결과 안전성 측면에서 루센티스와 아바스틴이 중대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임상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습성 연령 관련 황반변성으로 메디케어에서 수급받은 65세 이상의 환자 7만 7886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것이다.

임상 결과 유리체 내 투여에 허가 받지 않은 아바스틴 사용 환자군이 루센티스 환자군에 비해 사망률을 일으킬 확률은 11%, 출혈성 뇌졸중을 일으킬 확률은 57% 더 높게 나타나 아바스틴이 심각한 전신 부작용을 일으킬 확률이 보다 높은 것으로 발표됐다.

또한 안내염 위험도 루센티스보다 아바스틴이 80% 더 높아 안전성에 있어 두 치료제간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루센티스와 아바스틴이 안전성 프로파일에서 중대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두 약물의 분자구조가 다르고, 유리체 주사 시 약물의 전신 노출 정도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루센티스는 안구 내 VEGF-A라는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에 선택적으로 결합, 새로운 혈관이 자라지 못하게 하고, 삼출물 누출을 차단해 습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와 당뇨병성 황반부종 환자의 시력을 유지하거나 회복시키도록 고안된 유일한 치료제이다.

루센티스는 유리체내 투여할 수 있도록 작은 입자의 항체절편으로 돼 있어 질병을 일으키는 혈관 부위에 신속하고 완전하게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루센티스는 아바스틴에 비해 전신 순환 시 소실속도가 100배 이상 빠르며, 따라서 약물의 전신노출로 인한 전신부작용 위험도 낮다. 눈에 사용하기 위한 무균제품으로 엄격하게 제조돼 안구 감염 위험의 가능성도 줄었다.

반면 아바스틴은 유리체 내 투여치료제로 승인되지 않은 항암제일 뿐 아니라 어떠한 안과 질환 치료제나, 유리체 내 사용을 위해 소량으로 나누어 사용하도록 허가되지 않은 약물이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