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정책
  • 제도・법률

"예산 챙기기 급급한 공공기관, 중복사업으로 혈세 낭비"

손의식
발행날짜: 2015-10-01 12:09:28

김재원 의원 "보건복지인력개발원, 국회 심의 무시한 예산 집행"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들이 몸집 불리기에만 급급해 예산 낭비와 중복 사업 집행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재원 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재원 의원(새누리당 . 경북 군위군ㆍ의성군ㆍ청송군)이 국회예산정책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이하 인력개발원)이 보건산업 전문인력 1만명을 양성을 위해 120억원을 들여 보건산업인재양성센터 건립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회의 심의내용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예산집행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력개발원은 2013년 해외환자 유치 등 의료서비스 글로벌화를 위한 의료통역사, 코디네이터 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보건산업인재양성센터 매입 예산 150억원을 신청했다.

인력개발원은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14년도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당초 매입하려던 지방행정연구원 건물이 다른 기관에 매각돼 서울이 아닌 수도권 지역을 다시 알아보고 있다고 설명했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도 서울 강남 지역 외의 저렴한 곳으로 매입할 것을 제안받으며 최종적으로 120억원의 예산을 배정받았다.

김재원 의원에 따르면 인력개발원은 국회의 예산 심의내용을 무시하고 서울 강남 소재 교육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9․10층, 735평)을 무리하게 매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력개발원은 예산 편성 시 2020년 수요를 4만 4000명으로 예상하고 1,500평 규모의 교육장을 매입할 계획을 수립했으나, 계획된 교육 수요의 절반도 채 충족할 수 없는 735평(전용면적 414평)을 매입한 것이다.

김 의원은 "인력개발원은 협약기관의 56%가 서울시에 소재하고 이 중 52%가 강남․서초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생의 접근성을 고려했다고 해명했으나, 의료통역사나 국제의료코디네이터 등 교육생은 협약기관 소속이 아닐뿐더러 오히려 협약기관이 강남․서초구에 집중되어 있는 현상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인력개발원이 120억원을 들여 건립한 보건산업인재양성센터에서 추진하는 사업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에서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 왔던 보건산업인력양성사업과 사실상 중복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했다.

인력개발원의 보건산업인재양성센터사업은 해외환자 유치가 활성화되면 이를 뒷받침할 의료통역사, 코디네이터 등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가 1만 명을 양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를 위해 인력개발원은 '글로벌헬스케어교육부'와 '제약․화장품교육부․의료기기․U-헬스 교육부'를 두고 있다.

하지만 진흥원은 이미 지난 1999년부터 의료․제약․의료기기․뷰티화장품․식품․보건 등 보건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으며, 매년 약 31개 과정, 64회의 전문인력 교육과정을 통해 그동안 약 3만 2000명의 보건산업 인력을 배출해 왔다.

또 진흥원은 지난 2009년부터 '해외환자유치사업'을 추진하면서 외국의료인력의 국내연수, 한국병원 체험행사, 한국의료 홍보회 및 학술교류회 개최 등을 통한 외국인환자를 국내의료기관과 연결시키고 도와주는 사업에 최근 5년간 약 218억원의 예산을 집행해 왔다.

심재원 의원은 "진흥원은 해외환자유치 사업을 직접 추진해 왔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시장 맞춤형 교육과정을 쉽게 발굴할 수 있는 등 사업과 연구·교육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반면, 인력개발원은 의료통역사 및 코디네이터를 양성한다고 하지만 보건산업 현장에 대한 이해와 의학적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활용이 어렵고, 교육양성과정 또한 사업 내용을 잘 모르기 때문에 콘텐츠가 빈약해 진흥원의 교육과정을 베끼기에 급급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력개발원에서 추진하는 금연사업 또한 국민건강증진개발원 사업과 중복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인력개발원에서는 교육인프라가 취약한 민간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사이버교육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고 금연과정으로 금연상담매뉴얼과 보건소금연사업정보시스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며 "하지만 동 과정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추진하는 금연상담전문가교육(예산 12억원), 금연사업 정보시스템 개발(2억 6000만원)과정과 내용이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인력개발원에서 운영하는 금연상담매뉴얼 과정의 과목은 ▲‘금연상담의 이해 ▲금연행동요법 ▲금연약물요법 ▲여성 및 청소년 금연상담 ▲집단상담 등으로,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추진하는 금연상담전문가교육(1억원) 과목도 대부분 중복되며, 심지어 원고 집필진 또한 동일인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재원 의원은 "공공기관마다 몸집을 불리기 위한 예산 챙기기에만 급급해 당초 심의 내용과 다르게 예산을 집행하거나 중복사업을 벌이면서,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는 산하기관들이 중복 사업을 벌이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하고 중복업무에 대한 산하기관 간 업무 재분장과 조직재편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