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대학병원

의료기관 병상점유 병원 31%-의원 28%

장종원
발행날짜: 2003-12-29 11:36:22

의료전달체계 실효성 의문···병원 경영난 가중

정부가 의료기관을 1·2·3차로 나눠 의원급은 ‘진료’, 2차기관은 ‘입원’으로 분리한 당초 의료전달체계가 의원급 병상점유율이 높아 사실상 실효성을 거두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들은 외래와 진료 모두 1,3차 기관에 밀려 심각한 경영난에 맞고 있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공개한 요양기관 현황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 병상수는 335,413병상이고 인구 천명당 7개 병상꼴로 나타났다.

의료기관별 병상 점유율은 병원이 104,151병상으로 31%로 가장 많았고, 의원급이 28.7%인 96,431병상으로 의원급과 병원급의 병상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종합병원 25.8%(86,840병상), 종합전문요양기관은 12%(40,951병상), 요양병원은 6.8%(7,040병상)였다.

중소병원 관계자는 “의료전달 체계가 상실되어 병원은 1,3차 기관과 외래와 입원 모두를 가지고 경쟁해야 하기 때문에 경영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병원들은 매년 기관당 의료수익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고 전국병원 중 29.3%인 267개 병원의 진료비 압류액이 1조원을 육박하는 등 심각한 경영난에 처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병원들은 입원에 있어서 3차기관의 시설과 의료인력을 따라 갈 수 없고, 외래 진료에 있어서는 1차 기관보다 본인 부담금이 높기 때문에 뒤질 수 밖에 없다.

한편 이러한 의료전달체계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김용익 교수는 병·의원간 외래와 진료를 빅딜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