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젖문간호원2011.04.30 23:13:58
김진현 간호 노조 위원장 보건 연구원의 출신성분을 보면 간호사 출신이 많다. 그리고 간호사의 이익을 위해서 행동한다. 국민 위한척 하는데 호랑이가 죽고 나면 이리나 늑대가 주인노릇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면 왜 보건 연구원이란 직함이 간호사 출신이 많을까?
1.보건대학원을 간호사가 그냥 둘리 없다. 중장기적으로 투자를 했다. 그래서 보건 연구원이란 국가기관 타이틀을 가지고 보건 연구원이 됐다.
2.간호사들의 부작용은 여기서 나타난다. 이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노무현 시절에 통과를 시켰고 한나라당이 집권하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없앤것은 아니지만 늘지는 않고 있다. 아마도 세금폭탄을 맞는데 기자들도 좌빨들이 많아서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
3.그리고 간호등급제를 만들었는데 간호등급제는 간호사 장관 김화중이 만든 것이다. 간호사가 학문한답시고 현미경 들여다보는 꼴이 우습다. 대전여고 나왔는데 간호대를 들어다보니까 억장이 무너지는 일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4.종합병원 병원장들이 복지부에 항의를 하러 밀려왔다. 간호조무사들은 일자리를 잃고 간호사는 이익집단 행세를 한다. 좀 높은 간호대학 나왔다는 것들은 심평원,건보공단 들어가 권력을 휘두르며 아예 병원취업 자체를 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의사를 이익집단이라고 하는데 생명체가 붙어 있으면 이익집단이 되는 것이다. 간호사가 이익집단이 되었는데 무감각한 것이다.
5.보건 간호사 노인요양원 마취사 조산사 장종호 원장 취임 거부를 위해서 유리창에 대롱대롱 매달린 김진현 간호 노조 위원장의 똥덩어리 사수작전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김진현씨는 심평원 간호노조 위원장이다.
보건 연구원은 간호사출신들이 간호사의이익을 위해서 서울대 보건 대학원을 나와서 국가기관행세를 하는 것을 말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없애고 의약분업 없애라. 흥부네 식구처럼 의료정책 벌려놓은 그죄를 김진현 교수 간호사 보건연구원은 아니? 공공의료정책강화도 마찬가지이다. 왜 사는데?
셩님2011.04.30 18:44:14
아따..간호사가 갑이제.. 심평원 간호사 보건 연구원 간호사는 주장합니다. 건보재정적자라고.
그런데, 아이러니컬 하게도 전문간호사 수가를 신설한다고 합니다. 무엇을 어찌하자고요?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입니다.
간호등급제에 이어서 간호사 월급을 국민 쥐어짜서 올리겠다는 뜻입니다.
책임주의2011.04.30 14:37:31
이나라가 개나라수준인이유... 자기행동에 책임만 무한지면됨. 대통령부터 아무도안진다는거...의사만 책임을 지고 있는나라.근데 이나라에서 의사가 도둑놈이란거 ㅋㅋㅋ 아이러니.
ㄻㄴㅇㄻㄴㅇㄹ2011.04.30 13:41:42
여기서 이말 저기서 이말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간호사 어록 보험료 올라도 왜 환자부담은 줄지않나?
| 기사입력 2011-04-30 01:05
광고
[앵커멘트]
우리나라에 건강보험이 도입된지 3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병원비의 3분의 1 이상을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 할 정도로 보장률이 낮은 실정입니다.
건강보험료는 거의 매년 인상되고 있는데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왜 줄어들지 않는 걸까요?
이양현 선임기자가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감기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의 진료현황을 알아봤습니다.
이 기간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1.6%에 불과한데 진료비는 그보다 무려 8배가 높은 13.2%씩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가인상률이 2.1%였던 점을 고려할 경우 9.5% 증가분은 \'과다 진료비\'란 이야기입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과도한 진료비의 증가 원인이 건강보험 지불체계에 있다고 진단합니다.
선행적으로 이뤄지는 의료 행위에 대해 사후에 보상이 이뤄지는 \'행위별수가제도\'가 문제라는 이야기입니다.
[인터뷰: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진료를 할때마다 검사를 할때마다 가격이 매겨져 의료기관 수입이 증가하기 때문에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가능한 한 진료를 많이 해서 과잉진료를 해서라도 수입을 증가시키려고 하는 유인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건강보험 재정을 늘려도 진료비가 훨씬 더 빠르게 늘기 때문에 보장률이 높아질 수 없는 구조라는 설명입니다.
실제로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보험료는 20%가까이 올랐지만 건강보험 보장률은 그 12분의 1 수준인 1.62% 증가에 그쳤습니다.
전문가들은 행위별수가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시행중인 \'포괄수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병원마다 연간 건강보험 예산을 사전 책정해 그 범위내에서 의료 행위가 이뤄지도록 하는 포괄수가제가 도입될 경우 불필요한 의료행위를 억제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의료계는 서비스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정영호, 대한병원협회 보험위원장(한림병원장)]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서비스를 낮춰야만 경영적 이익이 되기 때문에 서비스 양을 낮추는 노력을 엄청나게 하게된다는 거죠.\"
선택진료료나 병실료처럼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부문도 환자의 부담을 높이는 또다른 요인입니다.
혈액종양으로 최근 수술을 받고 퇴원한 한 환자의 진료비 계산서입니다.
진료비 총액 1,560여만 원가운데 환자가 내야 할 금액은 절반에 가까운 706만여 원.
보험이 적용되는 항목에서는 환자 부담액이 80만 원에도 못 미치나 비급여 항목에서 무려 600만 원이 추가됐기 때문입니다.
비급여 비용이 이처럼 높은 것은 환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가 이뤄지는데다 정부의 가격통제를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비급여 부문의 가격 왜곡 현상을 정상화 시키기 위해서는 가격과 의료 행위를 통제할 수 있는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김진현 간호 노조 위원장
보건 연구원의 출신성분을 보면 간호사 출신이 많다. 그리고 간호사의 이익을 위해서 행동한다. 국민 위한척 하는데 호랑이가 죽고 나면 이리나 늑대가 주인노릇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면 왜 보건 연구원이란 직함이 간호사 출신이 많을까?
1.보건대학원을 간호사가 그냥 둘리 없다. 중장기적으로 투자를 했다. 그래서 보건 연구원이란 국가기관 타이틀을 가지고 보건 연구원이 됐다.
2.간호사들의 부작용은 여기서 나타난다. 이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을 노무현 시절에 통과를 시켰고 한나라당이 집권하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을 없앤것은 아니지만 늘지는 않고 있다. 아마도 세금폭탄을 맞는데 기자들도 좌빨들이 많아서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
3.그리고 간호등급제를 만들었는데 간호등급제는 간호사 장관 김화중이 만든 것이다. 간호사가 학문한답시고 현미경 들여다보는 꼴이 우습다. 대전여고 나왔는데 간호대를 들어다보니까 억장이 무너지는 일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4.종합병원 병원장들이 복지부에 항의를 하러 밀려왔다. 간호조무사들은 일자리를 잃고 간호사는 이익집단 행세를 한다. 좀 높은 간호대학 나왔다는 것들은 심평원,건보공단 들어가 권력을 휘두르며 아예 병원취업 자체를 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의사를 이익집단이라고 하는데 생명체가 붙어 있으면 이익집단이 되는 것이다. 간호사가 이익집단이 되었는데 무감각한 것이다.
5.보건 간호사 노인요양원 마취사 조산사 장종호 원장 취임 거부를 위해서 유리창에 대롱대롱 매달린 김진현 간호 노조 위원장의 똥덩어리 사수작전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김진현씨는 심평원 간호노조 위원장이다.
보건 연구원은 간호사출신들이 간호사의이익을 위해서 서울대 보건 대학원을 나와서 국가기관행세를 하는 것을 말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없애고 의약분업 없애라. 흥부네 식구처럼 의료정책 벌려놓은 그죄를 김진현 교수 간호사 보건연구원은 아니? 공공의료정책강화도 마찬가지이다. 왜 사는데?
아따..간호사가 갑이제..
심평원 간호사 보건 연구원 간호사는 주장합니다. 건보재정적자라고.
그런데, 아이러니컬 하게도 전문간호사 수가를 신설한다고 합니다. 무엇을 어찌하자고요? 꼬리가 길면 잡히는 법입니다.
간호등급제에 이어서 간호사 월급을 국민 쥐어짜서 올리겠다는 뜻입니다.
이나라가 개나라수준인이유...
자기행동에 책임만 무한지면됨. 대통령부터 아무도안진다는거...의사만 책임을 지고 있는나라.근데 이나라에서 의사가 도둑놈이란거 ㅋㅋㅋ 아이러니.
여기서 이말 저기서 이말 이익을 위해서는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간호사 어록
보험료 올라도 왜 환자부담은 줄지않나?
| 기사입력 2011-04-30 01:05
광고
[앵커멘트]
우리나라에 건강보험이 도입된지 3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병원비의 3분의 1 이상을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 할 정도로 보장률이 낮은 실정입니다.
건강보험료는 거의 매년 인상되고 있는데 환자 본인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왜 줄어들지 않는 걸까요?
이양현 선임기자가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감기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의 진료현황을 알아봤습니다.
이 기간 연평균 환자 증가율은 1.6%에 불과한데 진료비는 그보다 무려 8배가 높은 13.2%씩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수가인상률이 2.1%였던 점을 고려할 경우 9.5% 증가분은 \'과다 진료비\'란 이야기입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과도한 진료비의 증가 원인이 건강보험 지불체계에 있다고 진단합니다.
선행적으로 이뤄지는 의료 행위에 대해 사후에 보상이 이뤄지는 \'행위별수가제도\'가 문제라는 이야기입니다.
[인터뷰: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진료를 할때마다 검사를 할때마다 가격이 매겨져 의료기관 수입이 증가하기 때문에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가능한 한 진료를 많이 해서 과잉진료를 해서라도 수입을 증가시키려고 하는 유인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건강보험 재정을 늘려도 진료비가 훨씬 더 빠르게 늘기 때문에 보장률이 높아질 수 없는 구조라는 설명입니다.
실제로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보험료는 20%가까이 올랐지만 건강보험 보장률은 그 12분의 1 수준인 1.62% 증가에 그쳤습니다.
전문가들은 행위별수가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시행중인 \'포괄수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병원마다 연간 건강보험 예산을 사전 책정해 그 범위내에서 의료 행위가 이뤄지도록 하는 포괄수가제가 도입될 경우 불필요한 의료행위를 억제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의료계는 서비스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정영호, 대한병원협회 보험위원장(한림병원장)]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 서비스를 낮춰야만 경영적 이익이 되기 때문에 서비스 양을 낮추는 노력을 엄청나게 하게된다는 거죠.\"
선택진료료나 병실료처럼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부문도 환자의 부담을 높이는 또다른 요인입니다.
혈액종양으로 최근 수술을 받고 퇴원한 한 환자의 진료비 계산서입니다.
진료비 총액 1,560여만 원가운데 환자가 내야 할 금액은 절반에 가까운 706만여 원.
보험이 적용되는 항목에서는 환자 부담액이 80만 원에도 못 미치나 비급여 항목에서 무려 600만 원이 추가됐기 때문입니다.
비급여 비용이 이처럼 높은 것은 환자의 선택에 따라 서비스가 이뤄지는데다 정부의 가격통제를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비급여 부문의 가격 왜곡 현상을 정상화 시키기 위해서는 가격과 의료 행위를 통제할 수 있는 법제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최영순,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건보재정 악화시킨다.
월급 올릴려고.?
PA를 양성화해서,의사를 없애자.
그래야 빨리 의료가 새로이 선다.!
몇몇 회장님들...
뿌듯하시겠습니다.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