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전문약 전환 선행" vs "손실 보전 생떼 쓰나"

발행날짜: 2011-06-16 12:23:35

약사회 "사전 약속 안하면 의약외품 슈퍼판매 불가" 배수진

보건복지부는 15일 오후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이하 중앙약심) 의약품재분류 소분과위원회를 열고 일반의약품 중 의약외품 전환 품목 등을 논의했다.
대한약사회가 전문약의 일반약 전환없는 의약품 재분류 논의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배수진을 치고 나섰다.

약사회는 15일 제1차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의약품분류소분과위원회 회의 후 6차 비상대책위원회 집행위원회를 소집해 이같이 결정했다.

약사회는 "복지부가 전문약의 일반약 전환에 명확한 의지가 부족하다"면서 "44개 품목의 의약외품으로 분류 과정도 성과위주로 진행됐다"고 꼬집었다.

이에 따라 16개 시도약사회장으로 구성된 집행위는 안전성이 확보된 전문약의 일반약 전환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어떤 의약외품 분류 결과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또 집행위 위원들은 "약사의 전문성 훼손 사태를 초래한 의사협회에 대한 대응책과 함께 대정부 투쟁이 필요하다"면서 "약사법 개정이 추진될 경우 16개 시도약사회장 명의로 모든 동원 가능한 대응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의료계는 이런 약사회의 주장이 "의약외품으로 빠진 것만큼 손실을 보전해달라는 생떼 쓰기에 불과하다"며 비판하고 있다.

중앙약심에 의료계 대표로 참여한 윤용선 대한개원내과의사회 정책이사는 "이런 주장은 의약품 재분류 논의를 의약계의 대립이나 갈등 양상으로 만든다"면서 "이는 일반약을 뺏긴 만큼 보상해 달라는 주장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의료계도 전문약을 포함한 의약품 재분류라는 명제에 동의한다"면서 "다만 공정하고 객관적이기 위해서는 일반약 슈퍼 판매 논의와는 별도로 재분류를 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