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교수.
"얼마나 많은 소아가 희생돼야 이들을 위한 약을 만들 것인가?"
연세의대 임상약리학과 박민수 교수가 소아용 의약품 개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나섰다.
그는 얼마 전 대한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도 소아에게 오프라벨(허가범위 초과사용) 의약품을 쓸 수 밖에 없는 안타까운 심정을 토로한 바 있다.
박 교수는 29일 한국제약협회에서 열린 '데일리팜 8차 제약산업 미래포럼'에서 '소아임상은 왜 필요한가'의 주제 발표를 했다.
그는 먼저 국내 소아용 의약품의 열악한 현실을 지적했다.
박 교수는 "치료제만 놓고보면 소아는 고아나 다름없다. 아파도 쓸 약이 없다. 폐질환 소아를 위해 비아그라를 쪼개서 써보는 등 희박한 희망을 갖고 이것저것 써봤다. 다 오프라벨이다. 의사로서는 굉장히 답답한 노릇"이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애들이 아픈데 치료를 못하면 어른이 못된다. 겨우 살려놓은 아이도 그 순간 뿐이다. 또 약이 없어 한계가 온다. 이런 과정에서 희생당하는 애들이 많다. 얼마나 많은 소아가 희생돼야 약 개발을 할 것인가"라며 답답해 했다.
물론 박 교수는 소아용 의약품 개발이 왜 어려운지는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누군가 해야할 일이라면 지금이 그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솔직히 소아용 약을 개발하면 돈이 된다고 말은 못하겠다. 제약사가 뛰어들기 힘든 이유다. 그렇다고 제약사 탓만을 할 수는 없다.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을 해줘야 한다. 의사도 마찬가지다.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소아용 의약품 개발과 관련된 법안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 교수는 "소아용 약 개발은 국가적 차원의 문제다. 미국과 EU는 이미 관련 제도가 만들어져 있다. 우리나라도 법안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통령을 만날 각오도 돼 있다. 책임감과 의무감을 가져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에 정은경 복지부 보건산업기술과장은 "소아 임상시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지원 정책을 마련하겠다. 또 소아 임상의 인프라 구축과 약가와 관련해 제약사가 불이익을 받지 않는 정책을 고려하겠다"고 약속했다.
29일 한국제약협회 회관에서 '정부 약가정책에도 R&D 숨구멍이 필요하다'는 주제로 포럼이 열렸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우리나라 제약기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라 나왔다.
숙명여대 약대 이의경 교수는 “의약분업이후 건강보험재정에서 약제비가 13~15% 정도 늘어난 것을 보면 시장이 많이 커진 것”이라며 “ 2000년대 들어 시장이 커진만큼 신약개발도 활성화 됐음 좋겠을텐데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또 ”R&D 증가율은 매출 증가율에 비해서 떨어지는데 이 시기에 R&D에도 매진했으면 조금 더 나은 상황에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며 “동시에 제약사의 대국민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도 노력했다면 좋지 않았을까”라고 덧붙였다.
반면 제약협회 공정약가정책팀 장우순 팀장은 현재 제약사의 부정적 이미지는 정부 제도에 의해서 부각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 팀장은 “제약기업 이미지는 의약분업 당시 정부가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약물 오남용의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좋지 않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리베이트도 원인제공자가 제약기업일 수 있지만 그 뒤에는 정부 약가인하 정책이 있다”며 “정부정책과 기업 이미지와 맞물려 가고 있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약품정책연구소 한오석 소장은 “제약산업이 꼭 필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국민에게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환골탈태 하려면 기본적으로 제약산업 이미지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