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외자사

"엄격한 혈당조절, 신장에 도움 안 된다"

김용범 원장
발행날짜: 2012-05-30 10:02:18
제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한 엄격한 혈당 조절 전략이 신장에 대한 이득이 있다 또는 없다는 문제로 다시 한 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논란은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에 발표된 예일대의료원 Steven G. Coca 교수 연구진의 메타분석 연구 때문이다.

연구진은 "신기능 표식자의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만, 실질적으로 신기능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연구에서는 목표 당화혈색소(HbA1c)를 7.1%에서 6% 이하로 설정한 환자군에서 미세 및 거대알부민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2배가 되기까지의 시간, 말기 콩팥질환, 콩팥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에서는 이러한 엄격한 혈당조절 치료전략이 이득을 준다는 명확한 근거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 Coca 교수는 "중증 저혈당혈증, 미세심혈관 이득, 잠재적 사망위험도 증가 등의 공격적 혈당관리 전략의 부정적인 결과를 생각해 볼 때, 신기능에서의 호전을 정당화할 수 있는 명확한 효과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고식적 치료군에서 말기신질환으로 발전한 환자수가 많지 않아 중간단계부터의 엄격한 혈당조정으로 신부전을 예방할 수 있다는 근거가 부족했다고 말했다.

보스톤 메사추세츠 의료원 David M. Nathan 박사는 "UKPDS 연구의 제2형 당뇨병 환자와 DCCT 연구의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20년 간 추적 관찰한 결과로 심혈관사건을 포함한 임상적 예후들이 향상됐다"면서, 초기의 공격적인 치료전략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또 "중증 신부전 환자수가 많지 않다는 점은 이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단 "대부분 환자들에게 7% 이하의 당화혈색소 목표치를 포기하지 않도록 경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두 번째 평론을 게재한 미네아폴리스 HealthParters Research Foundation의 Karen L. Margolis 박사와 Patrick J. O`Connor 박사는 UKPDS 연구에서는 메트포르민, 설포닐우레아, 인슐린 등의 약물을 통한 혈당 강하 효과는 보였지만, 특정 혈당목표를 정하지 않았고, 당화혈색소를 7% 이하로 유지했을 때의 혜택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ACCORD, ADVANCE 연구를 언급하며 "공격적인 혈당 조절전략이 어느 정도의 미세혈관 합병증의 감소를 보여주었지만, 진행성 미세혈관합병증의 감소나 심혈관, 사망률 예후에 대한 혜택은 보여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당뇨병학회(ADA) 지침서에서는 목표 당화혈색소를 7% 이하로 권고하고 있지만, 연령, 동반질환, 합병증, 저혈당혈증 등 환자별 평가를 통해 6.5~8% 이하 범위 안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번 메타분석연구에는 두 개의 UKPDS 코호트 연구와 3개의 다른 무작위 연구결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두 2만 8,065명을 2년에서 15년 추적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