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으로부터 빌린 자본을 발판 삼아 잘만 하면 순익을 높이는 '지렛대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과도한 차입금은 결국 족쇄가 된다는 것이 여러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매달 갚아야 하는 원금·이자와 월 순익의 밸런스를 맞추지 못하면 늘상 빚에 허덕이면서 최초 자본마저 갉아먹는 악순환의 고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자기자본만으로 병원을 개원할 수 있다면 좋지만 대출 없이 개원하는 게 불가능에 가깝다면 최소한 대출 대출 리스크만은 피해야 하지 않을까.
무리한 대출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개원의 사례와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대출 리스크를 최소화 하는 방안에 대해 짚어봤다.
또 다시 고개드는 '엔저' 주의점은
5년 전 엔저 현상으로 인기를 끌었던 엔화대출은 개원 예정의들에겐 손쉬운 자금 마련의 '빛'으로 보였지만 결국 엔고 현상으로 인한 숱한 피해 사례를 낳았다.
2007년 서초구의 한 개원의는 한화 기준으로 6억원 가량을 엔화 대출 받았다. 그러나 2010년에는 약 10억원의 돈을 상환해야 했다.
1만엔을 빌렸을 때 원·엔(100엔당) 환율이 800일 때는 8만원을 갚으면 되지만 환율이 1500원으로 뛰면 두배에 달하는 금액을 갚아야 하기 때문이다.
원·엔 환율이 지난해 8월 100엔당 1446원에서 올해 1160원대까지 곤두박질쳤다.
최근 다시 '엔저' 현상이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엔 환율 하락을 기대하고 엔화대출을 받는 것이 현명한 일일까.
개원컨설팅 업체 관계자는 "추후 엔화 환율이 떨어진다면 환차익을 얻을 수 있지만 리스크가 무척 크다"면서 "환차익을 남기기 위한 대출보다는 안정적인 원화 대출을 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엔저현상이 심화된다고 해도 900원 언저리를 기준으로 반등이 일어나고 다시 1500원까지 엔 환율이 급등하는 과거의 반복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
지난해 8월부터 지금까지 20% 가까운 낙폭이 큰 엔 환율의 하락이 있은 만큼 추가 하락보다는 상승 쪽에 무게를 둬야한다는 조언이다.
한도 때문에 제2금융권에 손? 담보대출 노려라
최근 닥터론의 개원대출 한도가 일반의 2억~3억원, 전문의 3억~5억원로 묶이면서 개원자금 마련을 위해 제2금융권을 살피는 의사들이 늘고 있다.
제1금융권의 금리와 불과 몇 %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갚아야할 원금+이자 비용도 낮을 것이라 판단하는 '착시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 중에서는 최고 한도 15억까지 대출이 가능한 닥터론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최저 금리가 6%대부터 시작한다. 15억원을 대출하면 매달 이자 비용만 750만원이 발생하는 것.
대출 금액이 커지면 금리 1% 차로도 연간 이자 비용만 수백만원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것이 금융 전문가의 조언이다.
본인이나 부모님이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라면 금리가 높은 닥터론 신용대출보다는 주택 담보 대출을 노리는 게 낫다.
신용대출의 최저 금리가 4% 후반대인 것에 반해 담보 대출은 금리 감면 조건과 신용도만 잘 충족하면 3% 후반대에도 대출을 받을 수 있어 연간 이자 절감 효과가 크다.
게다가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인 경우가 많아 금리 측면에서는 주택 담보 대출이 매우 유리하다.
대출 전 변동금리 확인해야
기본 대출금액에 붙은 금리와 추가 대출금에 붙는 금리가 다른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본 대출금 3억원까지는 5%의 금리를 적용하지만 이후 추가되는 대출금에는 6% 등으로 금리를 높여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또 대출 만기 후 연장 시 금리가 오르는 경우가 있다.
4% 후반대에서 시작한 대출이 몇번의 대출 만기 연장 후 7% 이상까지 오르는 경우가 있어 대출 계약 전에는 변동 금리의 폭을 확인해야 한다.
특히 아무런 고지없이 자동연장되는 사례도 빈번해 자동연장시 금리 변화에 대해 사전에 철저히 알아봐야 한다.
만기 연장할 때 병의원의 매출액이 은행 측의 생각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바로 원금 상환 압력이 들어올 수 있다는 점도 늘 염두에 둬야 할 점이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