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청수, 김남국, 경윤수 교수. 국내 의료진이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한 수술 기법이 도입돼 주목된다.
서울아산병원 김청수, 김남국, 경윤수 교수팀은 최근 신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3D 프린터를 활용한 신장 및 암 조직 형태를 재현해 수술계획을 세워 신장 부분절제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지난 24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유럽비뇨기학회에서 발표됐다.
기존 CT 등 2차원 이미지를 통한 신장 부분절제술은 신장암과 신장 내부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수술범위를 예측하는 데 한계를 보였다.
연구팀은 서울아산병원이 개발한 3D 모델 툴(A-view software)를 통해 3차원 신장 모형을 만들었다.
환자와 보호자도 몸속에 있는 장기를 그대로 재현한 모형을 보며 수술 설명을 쉽게 이해했다.
수술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절제범위를 예측해 암 덩어리를 분리한 3D 프린터 모형.김청수 교수(비뇨기과)는 "3차원 신장 모형을 통해 파악한 것과 실제 수술을 집도했을 때 신장 상태 및 신장 암 조직 위치가 육안적으로 유사했을 뿐 아니라 종양 상태도 거의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3D 프린터를 이용해 환자 맞춤형 장기를 출력해 상세한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유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윤수 교수(건강의학과)는 "형태와 재질, 색감 등 모든 면에서 완벽하고 정교한 3D 프린터 모형을 개발해 신장암 뿐 아니라 선천성 비뇨기 질환 치료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은 고난도 신장암을 비롯해 자궁경부암, 폐종양, 만성폐쇄성폐질환, 심장 판막 재건술 등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장기 모형을 제작해 수술 전 시뮬레이션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