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대학병원

"어디 전공의가 감히" 표류하는 교수 평가제

발행날짜: 2015-04-22 12:00:26

도제식 문화 틀에 갇혀 3년째 표류…"보상책 선행돼야"

병원신임평가센터가 지난 2013년부터 수련평가 항목에 지도 전문의 평가를 추가했지만 서류상에만 존재하는 제도로 전락하고 있다.

도제식 교육 문화가 뿌리깊은 대학병원에서 전공의가 교수를 평가하는 시스템에 대한 저항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이를 인지하고 있는 신임평가센터 측도 얼마 전 병원신임평가 설명회에서 "전문의 평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평가 지침을 구비하고 있는 지 혹은 실시여부 등을 확인할 것"이라며 면회부를 주는 듯한 입장을 취했다.

신임평가센터 관계자는 "전문의 평가는 각 병원별로 가능한 선에서 실시하면 된다"며 "센터가 제시한 평가요소는 참고사항"이라고 덧붙였다.

신임평가센터가 이날 제시한 전문의 평가 요소는 ▲의료 윤리적 및 도덕적 행동 실천 ▲전공의 교육에 대한 관심 ▲전공의 교육 능력(진료 및 의료행위 과정, 수술기법 교육 능력, 연구기법 교육 능력) ▲전공의에 대한 동기부여 능력 ▲자문의 접근성 ▲자문에 대한 수용성 및 태도 ▲의학적 지식 ▲학술 및 연구활동 ▲교육수련 프로그램 의무 이행 정도 ▲교육수련 프로그램에 미치는 중요도 등을 10가지 항목이다.

병원신임센터가 최근 개최한 병원신임평가 설명회 모습
"전공의 익명성 불가능…누가 솔직히 평가하나"

의과대학에서도 교수 평가를 하는 마당에 왜 전문의 평가는 어려운 것일까.

문제는 의과대학과 달리 수련과정에서 교수평가는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여전히 도제식 교육을 고수하는 수련시스템에서 제자가 자신의 신분을 노출하고 스승을 평가하기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의과대학 한 교수당 수업에 참여하는 의과대학생은 적어도 수명에서 많게는 수십명에 달하지만, 수련병원 한 전공과목에 연차별 전공의는 한두명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굳이 따져 묻지 않아도 누가 어떤 평가를 했는지 쉽게 알 수 있는 구조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다.

한 전공의는 "현재 병원신임평가 때 마다 전공의들에게 익명성을 보장해줄테니 어려움을 얘기하라고 해서 믿고 솔직하게 말하면 어느새 교수에게 한소리 듣기 십상"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전공의는 "획기적인 평가 툴이 마련되지 않고서는 솔직한 평가는 어려울 것"이라며 "평가에 나서려는 전공의 또한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교수들 "수련에 대한 보상도 없이 평가 한다고?"

또한 평가의 대상이 되는 임상교수들의 저항도 걸림돌 중 하나다. 실제로 전문의 평가에 대해 교수들은 불쾌감을 드러내며 난색을 표했다.

모 대학병원 교수(성형외과)는 "전공의 수련에 대한 보상도 전혀 없는데 평가만 한다면 어떤 교수가 찬성하겠느냐"면서 볼멘소리를 했다.

또 다른 교수(내과)는 "임상교수는 외래 및 병동에 환자를 진료하는 것 이외에도 연구성과를 내야한다. 수련까지 챙길 겨를이 없다는 게 솔직한 얘기"라고 털어놨다.

그는 "현실적으로 수련에 집중할 수 없으니 차라리 수련을 전담할 인적 자원 개발을 고민하는 편이 낫다"고 덧붙였다.

모 교수(흉부외과)는 역효과를 우려했다. 일부 교수는 전공의 인기에 영합해 정작 환자 진료 및 연구에 소홀해질 수도 있다고 했다.

무엇보다 평가를 통해 사제지간의 관계를 악화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그는 "그렇지 않아도 젊은 의사들은 스승을 우숩게 보는 경향이 짙은데 전문의 평가까지 한다면 걷잡을 수 없게 될 것"이라며 "오히려 지금껏 잘 지내던 관계까지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수련환경 개선 일환으로 부각된 전문의 평가 카드는 도제식 교육을 근간으로 한 수련시스템의 한계로 3년째 표류하고 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