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의료기관 육성을 위해 야심차게 출발한 연구중심병원 사업이 도입 4년이 지났지만 지원 예산 부족으로 미운오리 신세에 머무르고 있다는 지적이다.
1일 보건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가 입수한 '연구중심병원 R&D 지원사업 현황'에 따르면, 연구중심병원 10곳 중 8곳만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원 예산도 복지부가 초기 약속했던 1조원 규모의 5% 수준에 불과했다.
앞서 복지부는 2013년 세계적 수준의 보건의료 산업화 성과 창출을 위해 연구중심병원을 도입했다.
당시 제시한 연구중심병원 사업 예산은 총 2조 3966억원으로 정부가 9763억원을, 해당 의료기관이 1조 4170억원을 분담하는 방식이었다.
사업 도입 4년이 지난 현재, 지원 예산은 2014년 100억원을 시작으로 2015년 170억원, 2016년 262억 5000만원 등 총 532억원 수준이다.
현재 연구중심병원은 가천의대 길병원과 경북대병원, 고대구로병원, 고대안암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아주대병원, 세브란스병원 및 분당차병원 등 10곳이다.
지원 예산이 축소되면서 연구주제별 연간 25억원, 병원 당 최대 2개 과제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
서울대병원과 세브란스병원, 길병원은 2개 과제에 선정돼 2014년과 2015년 모두 총 100억원을 지원받았으며, 삼성서울병원과 고대안암병원은 2014년부터 1개 과제로 총 50억원을 받았다.
경북대병원의 경우 지난해 25억원을, 아주대병원과 분당차병원은 올해 4월부터 25억원을 받을 예정이다.
문제는 고대구로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모두 지난 3년간 연구비를 한 푼도 지원받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들 병원은 지역 안배 순위를 감안해 1주기 사업이 종료될때까지 연구비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복지부도 예산 확보에 주력하고 있으나 현실은 녹록치 않은 상태이다.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현재 지원받지 못하는 고대구로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을 포함해 연구중심병원 10곳의 R&D 예산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면서 "진료영역에서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의료시스템을 혁신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병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의료기관 수출과 해외환자 유입에 올인 하는 현 정부의 정책기조로 연구중심병원 선정을 위해 인력과 시설 확충에 투자한 병원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가는 형국이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