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뇨장애'를 호소하는 남성 환자가 최근 5년 사이 48.7%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남성 배뇨장에 진료비도 5년 동안 104.5%나 폭증했다.
의료계는 지난 정부의 보장성 강화 일환으로 이뤄진 남성생식기 초음파 급여화 영향이 클 것이라고 추측했다.
건강보험공단은 2017~21년 배뇨장애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11일 발표했다. 배뇨장애는 비뇨기계 기관(콩팥, 요관, 방관, 요도)의 소변 저장기능 및 배뇨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적 단위인 배뇨근, 방광경부, 외요도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소변을 볼 때 생기는 여러 가지 이상 증상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배뇨장애 환자는 2017년 57만4889명에서 2021년 74만6059명으로 29.8% 증가했다. 진료비는 같은기간 1563억원에서 2478억원으로 58.6% 늘었다.
특히 남성 환자 수와 진료비가 눈에 띄게 들었다. 전체 배뇨장애 환자 중 남성 환자는 30% 중후반대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19만5557명에서 2021년 29만729명으로 48.7% 늘었다. 같은 기간 여성 환자가 20%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율이 큰 편이다. 남성 환자 진료비는 497억원에서 1017억원으로 5년사이 104.5%나 폭증했다.
의료계는 이같은 진료비 폭증 현상을 놓고 지난 정부에서 이뤄졌던 '남성 생식기 초음파' 급여화의 영향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2019년 9월부터 남성 생식기 및 방광 초음파 검사가 급여화됐다. 이에따라 남성 배뇨장애 진료비는 2018년 592억원에서 2019년 813억원으로 눈에띄게 늘었다. 코로나19가 대유행하던 시기인 2020년과 2021년 사이에도 892억원에서 1017억원으로 113% 증가했다.
대한비뇨의학과의사회 조정호 보험부회장은 "남성 생식기 초음파가 급여화 된지는 3년이 됐지만 노인 인구 증가와 맞물린데다 전립선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1년에 한 번씩은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21년 기준 배뇨장애 환자의 연령대별 구성을 보면 전체 환자 10명 중 4명(44.4%)은 60~70대에 집중돼 있었고 80세 이상까지 포함하면 환자의 60%가 60대 이상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비뇨의학과 박재원 교수 "노화에 따른 배뇨근 수축력이나 방광용적의 감소, 당뇨와 같은 기저질환, 배뇨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일부 약물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며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라며 "특히 남성은 양성전립선비대증 또한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뿐만 아니라 노인층 중 비교적 젊은 60대는 사회생활, SNS 등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통해 배뇨장애를 인지하고 비뇨의학과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