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비를 내지 않고 야반도주한 입원환자를 찾아보면 거의 생활이 어려운 경우로 결손액을 환수하기 보다는 도와주고 오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병의원에는 진료비를 못내 야반도주하는 입원환자 등 생계형 범죄(?)나 경제적 부담을 이유로 진찰료 에누리·할부 등을 간곡하게 요청하는 환자들도 볼 수 있다. 장기 경기불황과 맞물려 다소 늘어나는 추세로 병의원의 회계장부상 거의 드러나지 않는 손실액이 적잖다.
종합전문인 K병원의 장부상 드러난 결손액중 지난해 진료비 미수액은 1억 1천만원 정도, 누적액은 3억 8천만원에 달한다. 경제력이 확인된 환자에 대해서는 소송까지도 진행되지만 대부분은 생계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딱한 처지를 걱정 도리어 돕고 오는 경우가 많다.
J병원의 진료비 결손액은 8천만원대로 ‘다음에 꼭 갚겠다’ 편지만 남긴 환자가 한달에 1명꼴은 된다. 병원 관계자는 “신용카드도 없어 진료비를 매달 얼마씩 내겠다는 각서를 쓰고 간 환자도 있다” 고 밝혔다.
서민·중산층이 많이 찾는 지방공사 S의료원은 공공기관인 만큼 생계를 꾸려나가기도 어려운 환자에게는 다음에도 아프면 망설이지 말고 찾아오라는 당부까지 한다.
S의료원 원무과장은 “진료비를 다 못내고 퇴원하더라도 1~2만원씩이라도 갚으려고 노력을 하는 환자들이 많다” 며 “감사에서 지적을 받기도 하지만 환자의 열악한 거주지 사진을 첨부해 처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원급의 경우 간혹 심평원이 의아해 할 만한 생계 도움형 처방전 패턴이 발생한다. 대표적인게 소아과로 첫째 둘째아이가 함께 감기에 걸리면 진찰은 2번하지만 처방전은 첫째아이에게만 투약일수를 늘려 발행한다. 진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다.
약국에서 내야할 조제료는 정액제를 넘어서지만 약사는 의사의 뜻을 이해, 적당하게 맞춰준다.
병원 관계자는 “보장성이 강화돼 10여년 전에 비하면 병원비를 못내 도망치는 환자는 많이 줄었다” 하지만 “본인부담금이 적은 액수지만 낼 여력이 부족한 의보환자도 간혹 있고 최근 경기불황으로 최근 1~2년사이 조금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한편 이같은 현상으로 발생하는 회계상 결손액 처리는 전체 의료기관으로 보면 어림잡아 연간 수백억원대는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