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관절 후 금속증이 생기면 재치환술을 바로 해줘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의료원 한강성심병원 정형외과 장준동 교수팀은 1995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인공 고관절 재치환술시 육안으로 금속증이 확인된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인공관절 후 금속증이 생기면 빨리 재치환술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속증 발생원인은 인공 삽입물인 비구컵의 분리로 인한 경우가 77.4%(24명)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극심한 마모가 19.4%(6명), 고정용 금속 나사못 이탈이 3.2%(1명)이었다.
금속증의 발생빈도는 5.3%(1990년부터 1995년까지 Harris Galante컵으로 인공고관절 전치환술 받은 환자 418명 중 22명)로 서구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국민들이 서구인에 비해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이유는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후 양반 자세 등 좌식 생활로 인한 인공 삽입물 사이의 충돌현상이 심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원인 질환이 활동성이 많은 젊은 환자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대퇴골두 무형성 괴사가 많고, 동양인은 체구가 작아서 서구인에 비해 작은 인공 삽입물을 사용하므로 잠금장치가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즉, 이러한 특성들과 사용된 비구컵 구조 상의 취약한 잠금장치가 인공 삽입물인 폴리에틸렌 라이너 분리의 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장준동 교수는 “지금까지 금속증에 관한 연구는 산발적인 증례 보고에 불과하였으나, 다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를 통해 금속증의 발생 기전과 임상 양상 등에 대한 분석을 할 수 있었고, 앞으로 금속증의 수술적 접근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서구인에 비해 우리나라 환자들에게 금속증과 골용해가 발생할 위험도가 더 높으므로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는 주기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며, 특히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면 가능한 조기에 수술적 재치환술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 논문은 인공관절 국제학술지인 2005년 8월 호에 ‘금속증이 있었던 고관절에서 인공관절 재치환술(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in Hip Joints with Metallosis)'란 논제로 게재됐다.#b1#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