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의 본인부담금 정액제 폐지 방침에 따라 제약업계의 전문의약품 영업전략의 대폭적인 수정이 요구되고 있다. 개원가보다 병원과 약국 쪽에 무게중심이 조금더 이동할 수 밖에 없다.
제약업계는 15일 복지부 발표한 중증-아동에 대한 건강투자 확대' 방안으로 나온 환자 본인부담금 정액제 폐지 방침과 관련 일반의약품과 대체조제 활성화 등 시장변화에 대해 손익계산이 분주하다.
당장 드러날 변화는 경증환자의 감소에 따른 전문의약품의 매출감소는 분명한 손실이고 항암제 등 중증치료 시장의 성장은 업계입장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는 보편적 업계 분석이외 복잡한 시장변화가 예상된다.
제약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경증환자와 처방품목의 동시 감소이며 반대급부로 일반의약품 시장의 활성화와 저가약의 경쟁력 강화, 대체조제의 활성화 가능성 등이다.
현재 본인부담금 정액환자가 정률제를 적용받을 경우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내는 본인부담금은 비슷하거나 낮아지는 반면 약국에서는 대폭 증가한다.
정부가 추계한 수치는 4000억원의 재정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그만큼 환자 감소와 부담증가는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개원가가 약국의 총약제비를 낮추는 처방약으로 전환하거나 품목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C제약 관계자는 "경증질환에서 저가약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환자부담이 증가한 만큼 약국에서의 대체조제 활성화가 되든 개원가가 처방품목을 줄이고 저렴한 약을 처방하든 변화는 분명할 것으로 보인다" 고 말했다.
이같이 환자 본인부담금이 증가하는 만큼 경증질환자가 일반약 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는 점도 제약업계가 간과하지 않고 있는 부분.
현재 의원과 약국에 건보적용 경증환자가 본인부담하는 금액은 4500원이지만 정율제 전환시에는 500~1000원 정도 부담이 는다. 그만큼 일반의약품이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건보급여시장이 일반의약품의 약가 인상을 억제하는 간접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환자의 부담이 증가하는 만큼 제약업계는 좀더 약가 인상을 위한 운신의 폭이 넓어졌다.
이같은 분석을 기초로 제약업계는 영업전략의 수정을 꾀하고 있다. 개원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반면 병원급 의료기관과 약국에 대한 마케팅은 강화할 수 밖에 없는 구도다.
Y제약 관계자는 "제네릭-오리지날 품목군 보유수준과 주력 질환군 등에따라 업체별 손익계산은 전부 다를 수 밖에 없는 정책변화" 라며 "시장변화를 얼마나 잘 예측하고 대응하느냐에 따라 업체간 희비는 바뀔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외 정률제 전환시 환자부담증가는 중장기적으로는 일부약제 비급여 처방에 대한 부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는 업계도 있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