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대학병원

병원 홍보맨은 메디컬 드라마 '제3의 작가'

안창욱
발행날짜: 2008-02-12 07:44:00

대본 꼼꼼히 살피고, 촬영 자문까지…"불신 줄었으면"

‘외과의사 봉달희’ ‘뉴 하트’ 등 외과, 흉부외과의 어려운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인기 메디컬 드라마가 촬영되는 대학병원. 감독의 큐 사인이 떨어지면 병원 홍보맨들도 혹시 왜곡된 이미지가 담기지 않을까 긴장을 늦추지 못한다.

건국대병원 오근식 홍보팀장
얼마 전 모영화사는 건국대병원에 영화 촬영 협조를 요청해 왔다. 대본을 살펴본 건국대병원 오근식 홍보팀장은 대본을 수정하지 않으면 협조할 수 없다는 조건을 달았다.

조직폭력배를 수술중인 수술방에 부장검사가 뛰어 들어오는 장면이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다.

오 팀장은 11일 “아무리 영화적 설정이라고 하더라도 병원 수술방에 외부인이 함부로 들어가는 것은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되는 일”이라면서 “만약 이런 장면이 나간다면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에 그냥 넘어갈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사실 촬영 현장을 지켜보면 이와 유사한 사례는 숱하게 많다고 한다.

건국대병원의 경우 새병원을 개원한지 얼마 되지 않은 현대식 건물이다보니 ‘외과의사 봉달이’ ‘불량 커플’ ‘가을 소나기’ 등을 이미 촬영했고, 거의 매일 같이 촬영 협조 요청이 들어올 정도다.

하지만 시험관아기시술센터(In Vitro Fertilization Embryo Transfer Center)를 ‘test tube baby center’로 황당하게 표기하거나, 식물인간이 된 환자를 의자에 앉혀 발을 씻어주는 웃지 못할 장면을 찍으려 할 때마다 병원 홍보팀은 속이 터진다.

오 팀장은 “이런 잘못된 의학정보가 방송이나 영화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노출되면 오해를 살 수 있어 늘 작가들에게 의사의 자문을 구하고, 대본을 고치라고 잔소리를 해도 엉터리 장면을 내보내기 일쑤”라고 털어놨다.

그는 “병원과 의료진에 대한 불신이 만연해 있는 상황에서 이런 왜곡된 병원 정보를 줄여야 한다”면서 “작가들의 고정관념이 굉장히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요즘 웬만한 대학병원이면 EMR을 가동하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간호사들이 차트나 필름을 들고 왔다갔다하는 장면을 찍겠다고 고집하는 것도 홍보맨들에겐 탐탁지 않다.

오 팀장은 “진료환경이 첨단화되고 있는데 촬영 스탭들은 자꾸 10년 전 모습을 연상한다”면서 “변화된, 긍정적인 병원 이미지가 많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게 우리의 역할 아니겠느냐”고 강조했다.

오근식 팀장은 “모든 병원과 의료진은 환자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데 그런 모습이 일반인들에게 많이 비춰져 불신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게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