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AHA/ASA 뇌졸중 가이드라인 개정, GLP-1·PCSK9i 반영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미국심장협회(AHA)와 미국뇌졸중협회(ASA)가 2014년 공개된 뇌졸중 1차 예방 지침을 10년만에 개정했다.최근 당뇨병 및 비만치료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 수용체 작용제(GLP-1 RA)의 심혈관계 질환 보호 효과가 밝혀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 당뇨병과 높은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환자에게 GLP-1 RA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AHA·ASA는 2024년 뇌졸중 1차 예방 가이드라인을 국제학술지 Stroke에 21일 공개했다(doi.org/10.1161/STR.0000000000000475).허혈성 및 출혈성 뇌졸중은 상당한 장애로 이어지지만 중요한 것은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2024년 뇌졸중 가이드라인은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한 식단부터 신체활동, 약제 병용요법까지 다양한 증거 기반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미국심장협회(AHA)와 미국뇌졸중협회(ASA)가 2014년 공개된 뇌졸중 1차 예방 지침을 10년만에 개정했다.먼저 신규 가이드라인은 뇌졸중의 최대 80%가 예방 가능하다고 언급하며 식단 변화 등의 생활 방식 변화를 촉구했다.여기에는 지중해식 식단을 채택하는 것이 포함되는데, 지중해식 식단은 특히 견과류와 올리브 오일을 보충해서 섭취할 경우 뇌졸중 위험이 현저히 줄어든다고 제시했다.또한 심혈관 건강과 뇌졸중 감소를 위한 신체 활동의 필요성이 강조됐다.환자에게 앉아서 하는 행동을 선별하고 무활동 상태를 피해 규칙적으로 중간 정도에서 격렬한 신체 활동에 참여하도록 새 권장 사항을 마련했다.GLP-1 RA·PCSK9i 반영도 눈에 띄는 변화다.가이드라인은 GLP-1 RA가 제2형 당뇨병 관리는 물론 체중 감량을 유도하고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는 강력한 데이터에 갖고 있다며 당뇨병과 높은 심혈관 위험을 가진 사람 또는 확립된 심혈관질환자에게 GLP-1 RA을 사용을 권장했다.또 다른 약물 계열인 프로단백질 전환효소 서브틸리신/케신 9형(PCSK9) 억제제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됐다며 해당 약제를 뇌졸중 예방 약물에 포함시켰다.적정 목표 혈압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약제의 병용 전략도 제시했다.가이드라인은 "효과적인 혈압 관리가 뇌졸중 예방에 필수적이지만 무작위 대조 시험에 따르면 단일 항고혈압제 복용자의 약 30%만이 목표 혈압에 도달한다"며 "대부분의 환자는 2~3가지 약물로 원하는 목표 혈압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에 따라 혈압 강하 약물이 필요한 대부분의 환자에게 1차 뇌졸중 예방을 위해 최소 2가지 항고혈압제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제시했다.
2024-10-22 12:57:20학술

치매 발병은 유전? "지중해 식단·권장 식습관 영향 없어"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치매 발병에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던 견과류, 올리브오일 등의 지중해식단 역시 치매 예방에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스웨덴 룬드의대 이자벨 글랜스(Isabelle Glans) 등 연구진이 진행한 식습관과 치매 발병률의 연관성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Neurology에 12일 게재됐다(doi.org/10.1212/WNL.0000000000201336).고령화에 따라 치매 발병률은 향후 30년 동안 3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 인구 급증에 대비해 많은 연구자들이 치매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를 찾고 있는 가운데 식습관이 미치는 영향도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자료사진특히 견과류, 해산물, 올리브오일, 채소 등으로 대표되는 지중해식단은 심혈관질환, 대사증후군뿐 아니라 인지 능력 개선에도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온 바 있다.연구진은 식습관이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스웨덴에서 진행된 인구 기반 말뫼 식생활 및 암 연구 스터디를 분석했다.1923~1950년에 태어나 말뫼에 살고 있는 비 치매인 등 총 3만 446명 중 7일 식생활 일지, 상세한 식생활 빈도 등 식이 데이터를 가진 2만 8025명을 대상으로 모든 원인 치매, 알츠하이머(AD) 또는 혈관성 치매 발생률을 비교했다.2차 평가 변수는 뇌척수액(CSF) Aβ42(n=738)를 사용해 측정된 뇌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Aβ)의 축적 여부였다.콕스 비례 위험 모델을 통해 식단과 치매 발병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고, 인구통계, 흡연, 신체 활동 및 음주 등의 변수를 조정했다.치매가 없는 성인 2만 8025명(여성 61%, 평균 연령 58세)을 기준으로 20년 이상 추적한 결과 총 1943명(6.9%)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는데 기존의 식이요법 권장사항을 준수한 경우 모든 원인 치매 발병 위험(HR)은 0.93, AD는 1.03, 혈관성 치매는 0.9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위험 감소는 없었다.지중해 식단을 고수하는 것 역시 비슷했다. 모든 원인 치매의 발병 위험은 0.93, AD는 0.90, 혈관성 치매는 1.00으로 발병 위험을 낮추지 못했다.5년 이내에 치매에 걸린 참가자나 당뇨병을 앓고 있는 참가자를 제외한 경우에도 경향성은 같았다.연구진은 "이 20년 추적 연구에서 기존의 식이 권장 사항이나 수정된 지중해 식단 모두 모든 원인 치매,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발병 위험 감소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며 "단일적인 요소로서의 식단은 인지에 충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지만, 다양한 다른 요소들과 함께 포함된 하나의 요소로 간주될 가능성은 있다"고 결론내렸다.
2022-10-18 12:03:14학술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