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모르기 때문에 대비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대비해야 하는 게 우리의 역할이다."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최원석 교수는 10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대한개원내과의사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에도 언제든지 닥칠 수 있는 신종 바이러스 질환에 어떻게든 대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원석 교수가 개원내과의사회 학술대회에서
그는 "코로나 치료제로 다양한 약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표준(standard)이 없다. 보조적 치료(supportive care)만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방역 요소가 합쳐져야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코로나19 의심 증상과 감기 환자 구분이 어려운 상황에서 개원가의 어려움도 십분 공감하고 있었다.
최 교수는 "환자 스크리닝을 위한 기준 잡기가 너무 어렵다"라며 "개원가는 환자 구분이 특히 어려운 상황인데 현재로서는 위험을 감수하고 환자를 보든가, 아예 보지 않든가하는 수밖에 없다"라고 전했다.
그는 나아가 감염질환의 중요성에 대해 재인식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감염질환은 사라질 것이라는 말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라며 "감염질환 중요성이 높아졌고, 새로운 감염병이 계속 등장하고 있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살펴봐야 한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새로운 감염병이나 대유행은 전혀 예측하기 어렵다"라며 "코로나19 재유행 시기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있지만 이또한 언제, 어떻게 올지 모른다. 잘 모르기 때문에 대비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대비해야 하는게 전문가의 역할이다"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상대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든 이 때 감염병 대응에 대한 정비를 해야 한다는 게 최 교수의 주장.
그는 "일반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를 분리해서 진료할 수 있는 진료체계가 병립해야 하고 그 안에 의료전달체계가 자리잡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사견임을 전제로 "공공의료체계가 중요한 것은 맞지만 민간 의료체계와 같은 일을 하고 경쟁하는 현재와 같은 구조는 안된다"라며 "공공의료체계가 조금 더 개별적으로 분리돼 있고,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특화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여기서 전문가들의 역할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속에서 '신뢰'를 구축해 소통(communication)하는 것.
최 교수는 "전문가의 역할이 바로 대중, 언론, 정부 등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이라며 "이는 신뢰가 바탕이 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