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지방 종합병원 소아과장이 성조숙증 진단시약 '공급중단'을 두고서 기자에게 한 하소연이다.
사정은 이렇다. 성조숙증 국내 환자가 코로나 장기화가 겹치면서 최근 급증양상을 보이지만 정작 건강보험 급여로 이를 진단할 수 있던 유일한 '시약'은 올해 3월부터 공급이 중단된 것이다.
해당 품목은 한독이 국내 공급하던 '렐레팍트 LH-RH(고나도렐린아세트산염)'이다.
원 개발사인 사노피가 이 품목을 3월에 공급 중단 결정을 내리면서 국내에 성조숙증 진단 시약의 씨가 마른 것.
수도권 대형병원 중심으로는 남이 있는 렐레팍트 주사제로 근근이 버티고 있지만, 지방에서는 이미 공급이 끊기면서 성조숙증 환자도 진단하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졌다고.
문제는 렐레팍트 주사제가 성조숙증 진단 시약으로 유일한 품목이라는 점이다. 동일 성분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페링제약의 루트렐레프주(초산고나도렐린)도 이미 유효기간 만료로 국내 시장에서 철수한 지 오래다. 건강보험 급여로 성조숙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사실상 없어졌다고 봐도 무방하다.
임상현장에서 더 분통을 터뜨리는 것은 관련된 정부의 대응이다. 시쳇말로 '의사 알아서 하라는 식'이다.
성조숙증 진단으로 식약처 허가받지 않은 다른 의약품을 갖고 의사들이 각자 근거 논문을 찾아 이를 근거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허가초과'로 신청해 승인받아 쓰고 있는 상황.
동시에 관련 학회는 제약사를 돌아다니며 중단됐던 진단시약의 재공급 요청을 하는 신세가 됐다.
지방의 한 종합병원 소아과장은 "남아있는 렐레팍트 주사제를 선점하기 위해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하나 밖에 없는 약물이 공급중단 됐는데 정부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아줘야지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며 수동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사실 글로벌 제약사의 의약품 공급중단에 따른 국내의 진료차질은 어제 오늘 일은 아닌 문제다.
실제로 정부도 몇 년 전부터 희귀질환 의약품부터 치료재료까지 공급중단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제약사로부터 공급 서약서를 받는 등 다양한 정책대안을 제시해오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사제나 의약품 공급중단 문제를 바라보는 관련 공공기관 별로는 온도차가 존재하는 것 아닐까. 자신의 업무가 아니라고 '다른 곳 찾아가 보라'는 식의 답변이 아닌 제도의 사각지대를 찾아 먼저 해결해주는 능동적 태도가 아쉬울 따름이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