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국내 매출 상위 10개 제약사 영업업총괄사장들이 모여 리베이트 상호 감시 고발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고 한다. 영업현장에서 벌어지는 리베이트 등 유통부조리 행위를 근절하자는 의미의 결의인 셈이다. 문경태 제약협회 부회장은 "지금까지 불법 리베이트 신고의 경우 대부분 내부자 고발에 의한 사례였기 때문에 부작용도 많았다"며 "앞으로는 현장에서 직접 뛰고 있는 영업사원들이 상호 체크를 통해 불법 리베이트 행위를 신고할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 결의는 비단 10개사 뿐 아니라 다른 제약사도 해당된다. 다국적제약사라고 해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영업현장에서 벌어지는 모든 불법행위가 감시 신고 대상인 셈이다.
제약업계는 지금까지 리베이트 근절을 위해 온갖 처방을 내놨었다. 리베이트 자신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사장들을 모아 복지부 장관 앞에서 자정 결의를 하고 .얼마전에는 유럽계 제약사들과 함께 앞으로 절대 리베이트를 주지 않겠다는 서약도 했다. 그러나 무용지물이었다. 신고센터는 개점휴업 상태고 리베이트 파문은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회장사도 리베이트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K제약과 D제약 등은 내부고발자가 나와 곤혹을 치르고 있다. 따라서 일각에서는 이번 10개사 결의가 정부의 압박에 의해 이루어진 것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아울러 8월1일 이후 리베이트 제공 의약품의 약가를 정부가 20% 직권인하는 제도가 시행된다는 점도 무관치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어찌되었건 국내 제약업계를 이끌고 가는 상위 10개사가 상호 감시 고발체계를 가동하기로 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리베이트 문제에서는 어느 제약회사도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제약계 영업행태는 그 특성상 내부자 고발이 아니면 외부에 유출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스스로 정화기능을 강화하면서 이런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이 결의가 오히려 자사 제품 마케팅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면피용'이라는 비아냥도 나온다. 지금까지의 자정운동이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기 때문이다. 이제 더 이상 양치기 소년은 안된다. 제약계는 리베이트를 근절하겠다는 약속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