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신약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려면 신약개발 지원방식부터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정하균 의원(친박연대)은 22일 열린 국립암센터 국정감사에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항암제 3건을 포함, 모두 18건의 신약을 개발했지만 연간 10억불 이상 글로벌 신약으로 성공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정 의원은 국산신약이 실패한 이유로 기초연구 성과를 전임상, 초기임상 연구로 연결시키는 후속개발 지원 부족을 꼽았다. 또 국산신약개발사업의 경우 물질발굴자가 전임상, 초기임상 등 후속연구까지 도맡아 담당함으로써 시행착오가 반복되고 경험과 노하우도 제대로 확산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정 의원은 "국가 신약개발연구사업의 경우 발굴자 개인 주도의 기존 방식과 달리 전문가 네트워킹 조직인 사업단을 꾸려 전임상 및 초기임상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단계별로 체계적인 개발을 진행시키는 방향으로 신약개발의 지원방식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개발된 신약이 글로벌 신약으로 성공할 경우, 그 수익금이 다시 연구개발에 재투자되는 선순환구조가 구축될 수 있다"면서 "국립암센터에서 복지부와 협의하여 신약개발연구사업이 효율적,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방식 개선에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