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보궐선거에 데인 의협 선관위 "내년 회장 선거는 온라인"

발행날짜: 2014-11-27 06:01:01

선관위, 선거관리 규정 개선안 제안 "투표율 제고 최우선 과제"

올해 의사협회 회장 보궐선거에서 선거 열기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비판받은 의협 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관리 규정을 대폭 손질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선관위는 투표율 제고를 위해 우편투표 방식 대신 온라인 투표를 우선으로 하고 3년 회비 납부자에게 주어졌던 투표권도 2년 회비 납부자로 완화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25일 제1차 선거관리위원회 회의를 개최한 선관위는 보궐선거 과정에서 나온 미비점을 보완해 대의원운영위원회에 서면 청원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선관위가 선거관리 규정을 손질한 것은 이번 보궐선거에서 후보자들의 문자 발송 제한이나 투표권자의 기준을 당해 연도를 제외한 3년 치 회비 납부자에 한정하면서 투표율 자체가 역대 최저 수준(전체 유권자 3만 6083명 중 28.96% 참여)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선관위 김완섭 위원장은 "선거관리 규정의 개정은 대의원 운영위원회가 권한을 가지고 있다"며 "보궐선거에서 나온 미비점을 보완한 안을 이달 초 운영위원회에 서면으로 청원했다"고 밝혔다.

그는 "개정안은 투표율 제고를 최우선에 두고 회원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가장 큰 변화는 우편 투표 우선 방식 대신 온라인 투표를 우선으로 하도록 개선안을 도출했다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번 보궐선거에서 주요 승부처는 온라인 투표였지만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이유로 사전에 신청한 회원에게만 온라인 투표 방식이 허용돼 투표율의 발목을 잡았다.

김 위원장은 "사전에 온라인 투표에 대한 동의서를 온라인으로 접수하고 오프라인에서도 회비 납부 시 동의서를 받을 생각이다"며 "과거 선거와 달리 온라인 투표를 우선으로, 우편투표는 별도로 신청하는 방식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수 천만 원의 인쇄와 발송 비용을 들여 우편투표 용지를 보내봤자 3만 명의 유권자 중 고작 5천여 명 정도만 선거에 참여한다"며 "이번엔 별도의 신고가 없으면 온라인 투표 방식으로 진행하고 우편투표는 별도로 신청을 받을 생각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체 유권자 수를 늘리기 위한 방안도 도출했다.

김 위원장은 "당해 연도를 제외하고 3년 치 회비 낸 회원들만 선거권을 얻어 실제 유권자는 3만 6천여 명에 불과했다"며 "선거권 규정을 완화해 당해 연도를 제외하고 2년 치 회비 완납자로 해 유권자 수를 4만 5천 명에서 5만 명 정도로 늘리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그는 "온라인 투표의 시기가 하루에 불과해 서버에 부하가 걸렸다"며 "온라인 투표 기간을 3일로 충분히 늘리는 방안도 대의원회에 제안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후보자들 역시 문자 발송 횟수의 제한이 선거 열기를 떨어뜨렸다는 지적을 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완 작업에도 착수했다"며 "아예 규제가 없으면 선거가 혼탁해지기 때문에 적정 수준에서 후보자들의 선거 운동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처리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선관위가 제안한 선거관리 규정 개정안은 대의원회 운영위원회가 승인하는 즉시 반영된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