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준비부터 시작까지 수많은 잡음이 일었던 만성질환관리제 시범사업이 시간이 흐르면서 자리를 잡아 본 사업 추진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는 평가를 진행하는 동시에 오는 12월까지 시범사업을 연장하고 본 사업 준비에 들어간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만관제 시범사업이 이미 9월말로 종료됐지만 우선 연말까지 시범사업을 연장 운영하기로 합의했다"며 "시범사업을 유지하면서 평가를 진행하는 형식"이라고 설명했다.
9월말까지 진행한 사업 내용은 별도로 정리해 평가 연구를 진행하면서 더 많은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동시에 시범사업을 연장하는 방식이다.
의협 관계자는 "결국 의사와 환자 등 현장에서의 반응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되지 않겠냐"며 "다행히 시행 초기 일었던 문제들은 대부분 정리가 된 듯 하다"고 전했다.
실제로 만관제 시범사업은 시행 초기 시범사업 신청을 한 의원 1870곳 중 두세달이 지난 시점에도 불과 200~300여곳만이 시작에 들어가면서 실패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만관제에 대한 관심은 충분히 있었지만 복잡한 시스템과 기기 보급 지연 등으로 인해 의사들조차 시행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만성질환 환자들 대부분이 노령 인구라는 점에서 IT기기 등에 대한 활용성이 떨어져 접근성에 한계가 생기면서 환자들 또한 이를 외면했던 이유도 있다.
하지만 1년여간의 시범사업을 진행하면서 이러한 문제들은 대부분 해소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복지부와 의료계가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도 이러한 부분에 있다.
대한개원내과의사회 관계자는 "시행 초기 발생했던 민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되고 사업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긍정적인 효과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만족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회의적인 분위기는 아니다"고 귀띔했다.
이어 그는 "복지부에서 몇가지 문제만 해결해주고 조금 더 시스템적인 부분들을 보완한다면 충분히 본 사업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며 "우선 연구 결과가 나오면 더 많은 논의들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보건복지부 또한 이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만관제 시범사업이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고혈압, 당뇨 등록사업 등과 밀접하게 연관이 되어 있다는 점에서 총체적인 사업 진행을 고려하는 분위기다.
복지부 관계자는 "정부 입장에서는 만관제 시범사업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며 일차의료기관의 역할을 찾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등과 연계한 총체적인 사업 모델 또한 검토중에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특히 이러한 사업들이 복지부와 의료계가 함께 논의하고 추진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도 있다"며 "지속적으로 협의해 가며 모델을 발전시켜 간다면 상호간에 효율적인 모델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