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 김동욱 교수팀, 혈액암과 코로나 예후 연구 중증 림프구감소증 정상 대비 사망 확률 5.63배 증가
코로나 사망 위험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입증한 연구 결과가 국내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발표됐다. 향후 국내외 코로나19 환자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치료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김동욱(가톨릭혈액병원장)·이동건 교수가 중심이 된 연구팀은 9일 국내에서 코로나로 진단받은 환자 5628명을 대상으로 예후를 예측한 생물학적 지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공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림프구감소증 중증환자군은 정상군에 비해 사망 확률이 5.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정부에서 공개한 질병관리청 의료 빅테이터를 활용해 2020년 1월부터 4월까지 코로나로 확진된 5628명 중 확진 시 림프구 분석이 가능했던 4052명의 림프구감소증과 예후를 분석했다.
이중 림프구감소증 중증군 (림프구 500/mm3미만)이 110명 (2.7%), 경증 또는 중등증군(림프구 500/mm3이상 1000/mm3미만)이 676명 (16.7%)으로 전체 환자의 19.4%가 코로나 확진 시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하거나 사망률이 증가할 수 있는 고위험군으로 분석됐다.
즉 진단 후 4주째 사망률은 림프구감소증이 있었던 환자 786명 중 17.4%로 입원 치료기간이 경과하며 급속히 증가했으며, 림프구감소증이 없었던 정상군 3266명에서는 2%로 의미 있게 낮았다.
추가로 연구팀은 환자의 특성을 최대한 동질화한 770명의 환자(중증군 110명‧경증 또는 중등증군 330명‧정상군 330명)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로 코로나 진단 당시의 림프구감소증과 생존율을 분석했다.
중증도에 따른 4주 생존율은 중증군 62.7%, 경증 또는 중등증군 79.9%, 정상군 89.0%로, 중증의 림프구감소증이 있는 환자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코로나 치료 도중 집중산소치료 요구도와 인공호흡기 요구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특히 환자의 나이, 기저질환 등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림프구감소증 중증군은 정상군에 비해 사망할 확률이 5.6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 진단시 림프구감소증이 있는 환자의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점도 증명해냈다.
연구에 참여한 감염내과 이동건 교수는 "다양한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 면역억제제나 항암제로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혈액 내 림프구감소증을 더 잘 일으킬 수 있어 이들 환자가 코로나19로 확진되는 경우에는 치료 초기에 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Cancers (Impact factor: 6.126)'에 2021년 1월 26일자로 게재됐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