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필수의료 대책으로 의대 정원 확대에 드라이브를 거는 상황에서, 의료계에서 시니어 의사 활용 방안이 탄력을 받고 있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17일 국립중앙의료원은 차기 의사회에 의사 정년을 기존 만 60세에서 만 65세로 연장하는 안건을 차기 이사회에 상정했다. 또 최근 대한의사협회와 협력체계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시니어 의사 활용을 통한 지방의료 확충 논의가 탄력을 받았다.
특히 이번 MOU로 ▲공공병원 필수 의료인력 확보를 위한 상호협력 ▲인력 기초 조사, 연구 분야 협력 ▲양 기관이 인정하는 기타 사항 협력 등이 가능해졌다.
앞서 양측은 지난해 11월 '의료소외지역을 위한 시니어 의사인력 활용방안 국회토론회'를 개최하고, 은퇴한 시니어 의사를 공공의료기관에 매칭하는 '공공병원 의사 의료 상생 모델'이 제안한 바 있다.
해당 모델은 시니어 의사와 공공의료기관의 참여 의사가 높아 성공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실제 관련 수요조사에서 공공의료기관 56곳 중 47개소가 참여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34곳에서 총 165명의 의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의협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은퇴 이후 재취업 의사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68.4%로 가장 높았다.
각계의 의대 정원 확대 압박이 거세지면서 시니어 의사 활용방안이 대항마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2023년 업무추진 계획에 의대 정원 증원을 언급하면서 국회는 물론 지자체까지 나서 관련 논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취약지 문제를 조명하는 등 시민단체까지 가세한 모양새다.
반면 의료계는 우리나라는 의사 수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하는 필수의료과 의사가 부족하다고 맞서고 있다. 시니어 의사를 활용한다면 의사 충원 없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시니어 의사 활용방안 MOU와 관련해 의협 이필수 회장은 "이번 협약은 공공병원이 필수의료 제공 책임기관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돕는데 의미가 있다"며 "은퇴 의사의 지역 공공의료기관 매칭사업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원장은 "의사 중 상당수가 은퇴 이후 지속적으로 진료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이번 협약 이후 양 기관이 공공의료기관 필수인력 확보사업을 보다 구체화해 보건복지부와 함께 정책을 활성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