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내부에서 전공의 복귀를 위한 논의가 본격화했다. 전공의 복귀에 앞서 수련환경 개선, 사법 리스크 완화가 필수적이라는 목소리다.
16일 대한의사협회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와 전공의 수련 재개 및 수련환경의 질적 향상과 관련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원만한 수련 재개를 위한 실질적 해법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전공의와 수련병원이 수련 재개 및 수련환경 개선 등을 위해 공식적으로 처음 머리를 맞댔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그 결과 전공의 수련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며, 불가항력적 의료사고에 대한 사법 리스크가 완화돼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의협은 이번 간담회는 의료사태 해결 과정에서 서로가 원팀임을 재확인하는 자리가 됐다고 전했다. 또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함께 그려나가겠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대한수련병원협의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간의 지속적인 대화를 하기로 했다.
이번 간담회를 제안한 의협 김택우 회장은 "현 의료사태를 하루빨리 해결하기 위해 전공의·수련병원·의료계 대표 단체가 모여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며 "수련환경 개선을 비롯해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수련병원협 김원섭 회장은 "국회와 정부와의 대화를 통해 전공의 수련 재개 상황을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전공의 수련 연속성을 보장할 방안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전했다.
대전협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전공의 복귀에 앞서 수련환경의 질적 향상과 개선의 중요성, 사법 리스크 완화가 필수적이다. 전공의들이 수련을 잘 재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의협에서 김택우 회장, 박명하 상근부회장, 서신초 총무이사, 김성근 대변인, 안상준 기획이사, 김충기 정책이사, 한진 법제이사가 참석했다.
수련병원협회에서는 김원섭 회장을 비롯해 윤승규 부회장, 김영태 특임이사, 양동헌 교육이사, 조병기 총무이사가 나섰다. 대전협에서는 한성존 비대위원장, 김동건 비대위원, 김은식 비대위원, 유청준 비대위원, 이의주 사무지원국 국장이 참석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