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음성으로 진료 챠트를 입력하는 보이스 EMR(전자의무기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낸에서 손꼽히는 EMR 기업인 비트컴퓨터의 제품이 공개돼 주목된다.
의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AI 보이스 EMR'이 바로 그것으로 차별성과 편의성을 기반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일 의료산업계에 따르면 비트컴퓨터가 의원용 클라우드 EMR인 비트플러스(BIT-PLUS)에 'AI 보이스 EMR'을 공식 런칭한 것으로 확인됐다.
AI 보이스 EMR은 기존의 진료 내역을 키보드로 직접 요약 입력하던 SOAP 차팅을 의사와 환자 간의 대화 내용을 인식해 자동으로 구조화된 의무기록으로 생성하는 AI 기반 솔루션이다.
이를 통해 의무기록 작성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록 누락 방지와 진료 집중도 향상 등 의료 현장의 핵심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솔루션은 진료 중 의사와 환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초진과 재진에 따라 AI가 환자의 증상(S), 검사결과(O), 진단(A), 치료계획(P) 정보를 구조화해 최대한 짧고 간결하게 자동으로 비트컴퓨터 EMR에 요약, 정리한다.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와의 소통에 집중하면서도 진료 후 별도의 키보드 입력 없이 완성된 진료기록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AI 보이스 EMR은 SOAP 기록을 한글과 영문 모두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초진 기록지 및 진단서 등 주요 서류 발급시에도 AI를 기반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증상 기반 상병 가이드도 제공한다.
상병 가이드는 의사가 입력한 증상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질환을 제안해 진단 과정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AI 기반 진단보조 시스템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비트컴퓨터는 의료 AI 전문 기업 '카이랩'과의 협업을 통해 이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은 카이랩의 닥터펜슬을 독립형 프로그램이 아닌 비트컴퓨터의 EMR 시스템 내 기능으로 통합 연동한 형태로 구현돼 진료 흐름에 자연스럽게 녹아든다.
비트컴퓨터는 향후 이를 SaaS형 서비스로 확장해 ▲진단·처방 보조 ▲병원 행정 자동화 ▲다국어 음성 인식 ▲진료과별 템플릿 자동화 등 기술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의원급을 시작으로 연말까지 종합병원 등 다양한 의료기관에 해당 솔루션을 순차적으로 런칭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의료 시장 진출에도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이 솔루션은 의원급 의료기관 전용 비트플러스 플랫폼을 통해 별도 설치 없이 즉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 구독형 과금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비트컴퓨터 전진옥 대표는 "이번 AI 보이스 EMR 내재화는 단순한 기능 추가가 아니라 기존 보이스 EMR의 불편함을 보완해 의사의 실제 진료 흐름에 최적화된 형태로 구현한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클라우드 기반의 비트플러스 플랫폼 안에서 음성 기록 기능까지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의료진이 진료 중 시스템 간 이동 없이 모든 기능을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 중심의 진료 품질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비트컴퓨터는 AI 보이스 EMR의 공식 출시에 맞춰 3개월 무료 사용 프로모션과 함께 핀 마이크 무상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